56개 직종 7·9급 공무원 1732명을 뽑는 가운데 실제 시험 응시자는 모두 9만 1582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시험접수 인원 14만 4445명보다 37%가량 감소했다. 이에 따라 실질 경쟁률은 52.9대1(지원 경쟁률은 83.4대1)로 조사됐다.
지방 수험생이 대거 상경하면서 이날 아침 한때 서울역과 강남 고속버스터미널 등은 북새통을 이뤘다.
서울시는 KTX 열차 등을 이용하는 수험생을 위해 서울역 주변에 안내 도우미를 배치했다.
또 수험생 대상 ‘공무원 시험 대비 1박2일 패키지 상품’도 등장했다. 가정 형편이 어려운 일부 지방 수험생들은 비용을 아끼기 위해 시험장 인근의 찜질방 등에서 하룻밤을 묵고 시험장으로 향하기도 했다.
한 수험생은 “시험장으로 가는 지하철 안이 수험생들로 보이는 사람들로 북적거렸다.”면서 “경쟁률이 높아서인지 다들 긴장된 분위기에서 시험을 치렀다.”고 말했다.
14만 4445명이 지원하다 보니 시험 관리관 및 시험본부 요원도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시청 및 구청 공무원 등 1만 4686명이 시험장 103곳에서 시험을 감독하거나 지원업무에 투입됐다.
화재나 수험생의 건강 이상 등의 안전 사고에 대비해 고사장마다 보건소의 간호 인력과 소방서 요원도 배치됐다. 시험 출제에 관여한 대학 교수도 200명을 넘었다. 서울시 인재개발원은 이들로부터 시험 문제를 받아 문제은행식으로 출제했다.
또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가운데 처음으로 점자 문제지와 확대 문제지가 제공돼 시각 장애인과 지체 장애인 2700여명도 응시했다.
필기시험 합격자는 다음달 14일 발표된다. 통상 선발 인원의 5∼10%가량을 더 뽑는다. 이들을 대상으로 9월17∼21일 면접을 실시해 10월5일 최종 합격자를 발표한다. 직종별 선발로는 행정직 1399명, 기술직 324명, 연구·지도직 9명을 뽑는다.
신인섭 인재개발원 전형팀장은 “지난해보다 800명을 더 뽑는 이날 시험에서 큰 사고없이 안전하게 잘 끝났다.”고 말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