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선두조와 후미조의 간격이 벌어져 어려움을 겪었지만 탈 없이 산행을 마쳤다. 미숙한 중간조에서 가끔 발을 헛디뎌 넘어지면 구급조가 달려와 곧바로 조치를 취하는 등 조직적인 등반이 이뤄졌다.
관록의 도봉구청 산악회 회원들은 자신들이 서울시내 공무원 산악회 모임 중에서 으뜸이라고 내세운다.
한달에 한 차례 회원 100여명 안팎이 모여 함께 산에 오른다. 발족 이후 꼼꼼히 기록을 남긴 공식 산행이 100회에 가깝다. 명산 도봉산(739.5m)이 병풍처럼 둘러싼 도봉구를 대표하는 산악회를 자부한다.
●100여명이 100회 산행
지난달 21일 경북 문경시 대야산(931m) 정기산행 때에는 길을 잃어 계곡을 20차례 이상 건너기도 했다. 그러다 한 회원이 키 높이 이상의 계곡물에 빠져 5m 정도 떠내려가는 아찔한 사고가 발생했다. 고참 회원인 심영보 문화체육팀장은 “등에 멘 배낭이 물에 둥둥 뜨자 동료들이 배낭을 잡아당겨서 구조했다.”면서 “생각하기도 싫은 기억이지만 지나고나면 끈끈한 동료애가 생기고 재미있는 추억으로 남는다.”고 말했다.
●금요일 밤에 무박2일 장정
1995년 발족한 도봉구청 산악회에는 회원명부가 따로 없다. 정기 산행에 자주 참가하기만 하면 대환영이다. 퇴직 공무원들도 열심히 나온다. 어느 때부터인가 등산이 취미인 지역 주민들도 더불어 산에 오른다고 한다.
등산 일정이 짜여지고 산에 오르기 며칠 전에 사전 브리핑을 받고 회비 2만원만 내면 산악회 회원이 된다.2만원은 1회용 여행자보험에 가입하고 총무단이 점심식사를 준비하는 데 쓰인다. 지방 산행이 많은 만큼 회원들이 타고 갈 전세버스를 빌리기도 한다. 보통 금요일 밤에 출발해 토요일 늦게 돌아오는 무박2일 산행을 즐긴다.
올 들어 충북 민주지산(1242m), 강원도 치악산(1288m), 충남 용봉산(381m)을 다녀왔다. 공식 산행 7회 기록이다.2005년 1월 경남 금산(701m)산행 때에는 구청 앞에서 583명이 버스 10여대에 나눠타고 출발하는 장관을 연출하기도 했다.
최선길 구청장은 ‘길잡이’로 초빙받는 명예회원이다. 설악산 대청봉(1708m)만 300차례 오른 ‘산사람’이기도하다.
심 팀장은 “구청장님은 몇시간을 걸어도 쉬지 않아 힘들지 않으냐고 물으면 ‘꾹 참고 간다.’고 말씀하신다.”면서 “산에 오를수록 배우고 느끼는 게 많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7-8-8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