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과거 정권 교체기에도 1급(현 가·나급) 공무원들은 관행적으로 사표를 제출했다. 정부조직 개편으로 고위직이 대폭 줄어든 만큼 과거 정부에 비해 퇴출 규모와 폭이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7일 각 부처에 따르면 최근 건교부 이재영 정책홍보관리실장 등 1급 공무원 5명 전원이 사표를 제출했다. 다만 이들의 사표는 정종환 국토해양부 초대 장관 후보자에게 아직 전달되지는 않은 상황이다. 국회 인사청문회 때문에 장관으로 공식 취임하지 않아 인사권을 행사할 수 없기 때문이다.
건교부 관계자는 “정권이 교체되면 1급들이 일괄 사표를 내는 게 통상적인 관례”라면서 “신임을 받은 사람은 다시 복직하고, 나머지는 공직사회를 떠나야 한다.”고 말했다.
건교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처들의 1급 공무원들은 아직 일괄 사표를 제출하지 않았다. 하지만 각 부처 장관 후보자들이 정식 임명되는 29일 이후에는 곧바로 내부 인사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번 주말쯤 일괄 사표 제출 여부가 판가름날 전망이다. 참여정부 출범 당시에도 각 부처 장관이 공식 취임한 이후 1급 공무원 대부분이 사표를 제출했다.‘퇴출 바람’이 공직사회에 휘몰아칠 경우 그 충격은 과거 정부보다 클 것으로 보인다. 조직개편으로 인원에 비해 자리가 부족한 만큼 1∼3급(현 가∼마급) 고위공무원단 전체로 확대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 과정에서 자리를 놓고 선후배가 경쟁하는 ‘서열 파괴’ 현상도 빚어질 수 있다.
게다가 퇴직한 고위 공직자들이 공기업 등 산하기관으로 이직하는 것도 쉽지 않아 보인다. 공공기관에 대한 통·폐합과 민영화 등 대대적인 구조조정도 예고돼 있기 때문이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