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대전환경기술개발센터(센터장 강호 환경공학과 교수)는 20일 충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1,8,9일 3일간 만리포 및 천리포해수욕장 30개 지점의 바닷물과 백사장 모래를 채취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수심 50㎝∼1.5m 사이 9개 지점의 바닷물을 조사한 결과 총대장균군이 하나도 검출되지 않았다. 이 균의 검출 여부는 미국에서 해수욕장을 개장할 때 가장 중요하게 삼는 기준이다. 용매추출유분도 검출되지 않았고 총인과 부유물질은 0.016과 19.23으로 기준치인 0.03,20에 미치지 못했다.
21개 지점에서 채취한 모래도 유분이 유원지 등 기준인 석유계총탄화수소(TPH) 500에 크게 못 미쳤다. 미국은 해수욕장의 경우 보통 300 이하로 규제하고 있다. 두 해수욕장의 기름기는 20m 13,30m 16∼27,50m 21∼51으로 깊이 들어갈수록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만리포해수욕장에는 지난해 12월7일 사고 후 자원봉사자가 가장 많이 몰렸다.
강 교수는 “자원봉사자의 활동이 해수욕장 회복에 큰 힘이 된 것 같다.”면서 “모래속 기름의 발암물질은 위험하지 않은 정도이고 피부에도 잘 묻지 않아 국토해양부의 해수욕장 수질기준을 적용하면 두 해수욕장은 1급수로 ‘적합’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조사는 계룡건설이 지난 3월부터 자부담으로 해온 두 곳의 복원작업을 끝낸 뒤 이 센터에 의뢰해 이뤄졌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