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강북구에 따르면 책상서랍에 굴러다니는 10원짜리 동전을 모아 불우이웃을 돕자는 취지의 동전교환운동은 지난 2월 구청 직원의 아이디어로 시작됐다.
쓸모없이 내버려진 동전을 적극 활용해 국가적으로 불필요한 새 동전 발행비용을 줄이면서 동시에 좋은 일도 해보자는 뜻이었다. 수시로 500원짜리 동전이나 1000원 이상의 지폐를 주머니에서 꺼내라면 멈칫거리기도 하지만 서랍에서 10원짜리를 찾아낼 때에는 모두 적극적이었다.
구청과 각 주민센터, 보건소 등 총 55곳에 동전교환 창구를 만들었다. 처음에는 10원짜리 동전이 많았는데, 점차 500원짜리 동전도 8만 5879개(4293만여원)나 모였다.
구청 직원들에 이어 민원인들도 동참하면서 6월말까지 4개월 동안 10원짜리 27만개 등 73만여개의 동전이 모였다. 액면가로 무려 8040여만원에 이르렀다.10원짜리 동전의 두께(1.6㎜)를 감안해 한 줄로 쌓으면 1168m에 이른다.1개에 4g의 무게로 따지면 3t에 가까운 2920㎏이나 된다. 무심하게 그대로 두면 잊어버릴 뻔한 귀중한 잔돈이다.
니켈과 구리로 만드는 10원짜리 동전의 제작비용은 액면가의 4배인 40원꼴이다. 올들어 국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헌 동전 모으기는 전국으로 빠르게 확산됐다.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국고 낭비라도 줄이자 데 온 국민이 공감한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 5월말 기준으로 전국적으로 323억원에 이르는 동전이 교환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헌 동전을 내놓은 사람의 희망에 따라 일부는 사랑의 성금으로 쓰일 것이다.
강북구 관계자는 “동전 모으기는 한두푼의 잔돈도 귀하게 여기는 근검절약 정신을 생활속에서 실천하는 운동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