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11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기존 지방도인 울릉 일주도로를 국가지원 지방도로 승격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고속도로·일반 국도·국가지원 지방도 노선 지정령 일부 개정안이 통과됐다.
이에 따라 국토해양부는 내년 5억원을 들여 울릉 일주도로 미개통 구간(내수전~섬목구간 4.4㎞)의 기본계획 용역을 수립한 뒤 2010년부터 3년간 연차적으로 총 3000억원을 들여 이 구간을 개통할 계획이다. 공사는 해안선의 자연경관 훼손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에 따라 전 구간에 걸쳐 터널과 교량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추진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구간이 2013년 개통되면 울릉 일주도로 총 연장 44.2㎞ 구간이 완전 개통되며, 그동안 주민과 관광객들의 불편도 말끔히 해소될 전망이다.
울릉 일주도로는 1963년 당시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의장이 울릉도를 방문했을 당시 주민들이 섬을 한 바뀌 도는 도로 개설을 건의하면서 공사가 시작돼 1975년까지는 주로 사람이 다닐 수 있을 정도의 도로로 사업이 추진됐다. 그러다 1976년부터 포클레인 등 육지의 중장비가 공사에 본격 투입되면서 비로소 도로다운 도로가 나기 시작했으며, 지금까지 사업비 790억원이 투입돼 전체의 90%인 39.8㎞ 구간이 개설됐다.
그러나 미개통 구간은 자연녹지 7등급에 해상 경관구역으로 지정된 데다, 깎아지른 듯한 절벽인 탓에 막대한 터널·교량 건설비가 필요해 공사가 계속 미뤄져 왔다.
김장환 경북도 건설도시방재국장은 “정부와 정치권이 뒤늦게나마 일주도로를 국가지원 지방도로 승격해 완전 개통에 나선 것은 크게 환영할 일”이라며 “주민 등의 불편 해소는 물론 독도의 실효적 지배 강화를 위한 울릉도 발전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포항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2008-11-15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