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굴비 중국산 사용’ 보도 후 불티
‘영광굴비 물렀거라, 추자굴비 납신다.’ 추자도 참굴비가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그동안 굴비의 대명사격인 영광굴비 일부가 중국산 조기를 사용했다는 보도 이후 추자도 굴비가 이에 대한 반사이익을 톡톡히 챙기고 있다.제주시는 추자굴비가 최근 하루 평균 1500상자 이상 팔려 1억원 상당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22일 밝혔다. 추자도에서는 추자도수협의 15개 가공 공장을 비롯한 중·소형 가공업체 모두가 가동 중이다.
올들어 현재까지 추자도수협의 매출은 10억원가량이다. 이 가운데 홈쇼핑 등의 광고로 인한 매출은 7억원가량에 이른다.
추자도수협 관계자는 “일부 영광굴비가 중국산 조기를 국내산으로 둔갑시켰다는 보도가 나가면서 추자도산 참굴비 수요가 크게 증가한 것 같다.”면서 “추자도에는 중국 등 외국 수산물이 전혀 들어오지 않아 혹시 저질의 외국산과 섞어 파는 게 아닌가 하는 원산지 걱정은 안 해도 된다.”고 말했다. 추자도 연해에서 잡히는 참조기는 연간 7500t가량으로 국내 전체 1만 1000t의 절반을 넘는다. 그동안 추자도에서는 굴비를 소금에 재는 염장기술, 굴비를 엮는 기술 등이 부족해 잡히는 조기를 전남 영광 지역 등에 공급하는 역할에 만족해 왔다.
추자도 굴비는 지난해 15억원을 들여 참조기 굴비 가공공장 현대화를 통해 위생적인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TV 홈쇼핑에 진출하는 등 공세적인 판촉 할동을 펴고 있다.
제주시 관계자는 “추자도 참굴비는 소비자 인지도 면에서 전남 영광이나 법성포에 비해 아직까지도 밀리지만 유통 전문업체들로부터 계속해서 러브콜을 받고 있다.”며 “올해 안에 추자도를 참굴비 산업특구로 지정하고 가공시설 등 인프라를 확충해 전국 최고 특화상품으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2009-1-23 0:0: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