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경험 살려 홍보 업그레이드
8일 서울신문이 조사한 결과 ▲기획재정부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금융위원회 등 6개 부처는 홍보전문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국토해양부 등 5개 부처는 부대변인 ▲노동부, 국방부 등 5개 부처는 홍보전문가 등의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대부분의 부처들은 이번주 말이나 다음주까지 채용을 마무리한 뒤 5월부터 업무를 맡길 예정이다. 지난 2월 ‘정책홍보 강화 차원에서 부대변인을 두는 방안도 검토하라.’는 대통령 지시에 따른 조치다.
홍보전문관은 홍보 기획이나 전략 수립, 온라인 홍보 등을 맡게 된다. 부대변인은 부처 대변인과 더불어 대언론 활동을 하게 된다. 홍보전문관은 민간의 홍보대행사나 홍보기획사 팀장급 정도의 간부, 부대변인은 12년 이상 언론종사자 등이 주로 채용될 전망이다. 둘 다 과장급(서기관)인 전문계약직 가급에 해당한다. 연봉은 4300만원 이상이다. 홍보전문가는 홍보전문관과 비슷하지만 한 단계 밑인 전문계약직 나급(서기관과 사무관 중간)이 채용된다.
재정부 관계자는 “홍보전문관은 직접 홍보를 담당하는 게 아니라 민간의 경험을 살려 홍보 전략을 기획, 재정부를 어떻게 잘 알릴 수 있는지 등의 업무를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정책 생산뿐 아니라 세일즈도 중요한 만큼 최근 경제위기 극복이나 금융소외자 지원 사업 등의 대국민 홍보를 홍보전문관이 전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뚝배기보다 장맛’
온라인 홍보도 이들의 영역이다. 농식품부 홍보전문관은 아예 온라인 모니터링과 대응을 위한 기존 온라인 홍보팀을 전담하게 된다. 식품안전 관련 내용들은 온라인에서 전파 속도가 매우 빠르고, 뒤늦게 대응하면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 금융위 홍보전문관은 금산분리 이용자 제작 콘텐츠(UCC), 금융소외자 지원 블로그 제작을 도맡는다.
회의적인 시각도 적지 않다. 홍보전문관 등은 참여정부 때도 시행했지만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한 탓이다. 한 정부부처 관계자는 “지난 정부에서 민간 홍보전략가를 전문계약직 가급으로 채용했지만 실무 부서에 ‘말발’이 안 먹히면서 실제로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었다.”면서 “(제도를 시행)하라니까 하지만 이번에도 보도자료 쓰고 검토하는 역할 정도에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
부처종합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