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정류소에서 탈 버스에는 현재 승객이 몇 명이나 타고 있는지’, ‘타고 있는 이 버스가 언제 목적지에 도착할지’ 등을 한눈에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세계적인 정보통신(IT)·위성기술 덕분이다. 도심 교통정책의 중심이 승용차와 도로 확충에서 친환경 자전거와 버스 등 대중교통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서울시는 내년 말까지 단계적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의 단말기(안내판)에 버스 도착예정 시간뿐만 아니라 탑승 가능한 인원 수도 제공한다고 19일 밝혔다.
●버스 안에서 내릴곳 교통정보 확인 가능
즉 정류소에서 버스를 기다리며 단말기를 쳐다보면 ‘○○○번 5분후 도착(10명 가능)’ 등 빈 차 여부에 대한 안내도 받을 수 있다.
버스 이용객이 교통카드로 요금을 결제하는 순간의 정보가 서울시 교통정보센터로 전달되면, 모든 운행 버스와 운수회사의 정보가 담긴 버스운행관리시스템(BMS)을 통해 순식간에 분석된 데이터가 통신망을 거쳐 실시간으로 각 정류소에 전송되는 방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우선 좌석형인 광역버스를 대상으로 잔여 좌석 수를 정확히 알려주는 서비스를 시행한 뒤 일반 버스에도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또 내년부터 새로 제작되는 모든 버스의 내부에도 안내 단말기를 설치함으로써 운행되는 버스의 현재 위치, 도로 혼잡도, 목적지 도착 예정시간 등의 정보도 제공하기로 했다.
버스 안에서 내가 내릴 정류소의 교통정보를 확인하면서 만약 도로가 막히면 중간에 미리 내려 지하철 등으로 갈아탈 수 있는 셈이다.
서울시는 주요 정류소 76곳에 단말기를 설치해 운영 중이며, 이를 내년까지 450여곳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장애인·외국인에게도 세심한 배려
장애인과 외국인 탑승객에 대한 서비스도 더 세심해지고 있다. 내년 말까지 시각장애인이 시내버스를 타기 전에 음성안내정보(ARS)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예약한 승차 정보가 운행 중인 운전기사에게도 실시간 통보된다.
장애인이 정류소와 노선버스 번호를 입력하면 버스 안의 단말기에는 ‘○분 후 ○○에서 장애인 ○명이 탄다’는 정보가 표시되는 방식이다. 정류소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음성안내 서비스도 확대된다.
아울러 내년 2월부터는 외국인 탑승객을 위해 휴대전화 ARS 영문 서비스도 실시한다. 영어로 버스 노선 및 정류소 등을 안내하는 것은 물론 첫차·막차 정보도 제공한다.
또 서울시 ‘모바일 포털(m702)’을 통해 휴대전화 문자로 버스 도착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문자(SMS) 컨택트 서비스’도 실시한다. 교통 혼잡을 유발하는 각종 도로 위의 사고나 시위, 재난 정보도 인터넷과 휴대전화를 통해 신속하게 전달하기로 했다.
서울시 교통정보센터 관계자는 “버스전용차로제의 활성화와 함께 정확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 시민들이 더 편리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연내에 지하철 역사에서도 버스 정보를 안내함으로써 연계교통 접근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09-7-20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