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사회주택 피해 입주민에 ‘보증금 선지급’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종로구, 156년 만에 ‘서울 문묘와 성균관’ 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강남 양재천에서 즐기는 ‘별빛 요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주민들 지친 몸과 마음 치유하는 양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북서울 꿈의숲 개장 후폭풍…구경갔다 과태료만 4만원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25일 휴일을 맞아 가족들과 함께 지난 17일 개장한 북서울 꿈의숲(옛 드림랜드)을 찾은 회사원 김모(37)씨는 모처럼 만의 휴식시간을 망치고 말았다.




 이곳을 찾은 인파 탓에 공원 앞 도로는 상습 정체구역으로 변모했고 한 시간 가까이 주차할 곳을 찾던 김씨는 결국 인근 도로에 갓길 주차를 할 수밖에 없었다.

 이어 공원에 들어선 순간 입구 개천의 누런색 물이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지나가는 사람들은 “X물이네.” “황토물이 새 공원에 어떻게 흐르느냐.”고 한마디씩 했다. 공원 측에서는 ‘계류는 안정화 중’이란 게시판을 세워놓긴 했지만 눈여겨보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숲이라고는 하지만 공원이 조성된 직후이다 보니 민둥산에 허허벌판이란 느낌이 먼저 들었고 앉아서 쉴 벤치도 거의 없어 누런 잔디밭에 돗자리를 깔고 앉아 쉬는 시민들이 대부분이었다.


 특히 월영지 등 대형 연못이 조성됐으나 안전 펜스는 설치돼 있지 않아 유아를 동반한 김씨는 혹시라도 아이가 떨어지지 않을까 불안에 떨어야 했다. 공원 측에서는 원활한 감상을 위해 안전 펜스를 설치하지 않았다는 간단한 게시판만 붙여놓았을 뿐이었다. 게다가 공원 치고 경사로가 많아 뛰어다니던 아이가 몇번이나 넘어져서 속상하기까지 했다.

 제대로 쉴 여유도 없이 시장바닥 같은 북서울 꿈의숲을 둘러보고 나온 김씨는 주차된 차에 붙은 4만원짜리 과태료 고지서를 보고 분통이 터지고 말았다. 김씨는 휴일에도 주차 단속을 한 구청 측에 문의하자 “주차장 시설을 제대로 마련하지 않은 북서울 꿈의숲에 이의를 제기하라.”라는 답변을 들었다.

 북서울 꿈의숲 측에서는 “인근 도로 및 자전거 도로에 주차하는 차량이 많자 서울시에서 주차 단속을 하라는 지시가 있었다.”면서 “우리는 공원을 관리하는 입장이니 주차 공간이 협소해서 생기는 문제는 서울시 녹지조성과에 문의하라.”고 해명했다.

 휴일에 쉬러 나왔다가 과태료 4만원만 물게 된 시민들은 주차 공간도 제대로 마련하지 않고 단속부터 한 서울시의 행정을 나무랐다. 북서울 꿈의숲의 개장 다음날인 18일 갓길주차로 딱지를 떼였다는 한 시민은 “정문부터 고개를 넘어 창문여고 앞까지 양도로 갓길에 수백대의 차량이 주차되어 있었고 꿈의숲 주차장은 만차라며 막아놓은 데다 교통경찰도 여러명이 나와 있는 상황이라 묵시적으로 인정해주는 분위기라 생각했다.”면서 “갓길주차가 불법임을 모르는 운전자가 어디있겠느냐. 예상되는 주차문제에 대해 계도가 아닌 단속으로 과태료를 걷어가는 행태는 서울시장이 직접 놀러오라고 하고서 뒷통수를 때리는 듯 해 기분이 참 더러웠다.”고 말했다.

 북서울 꿈의숲의 주차 대수는 모두 402대지만 이 가운데 공사 중인 공간과 장애인·대형·여성전용 주차공간 100대를 빼면 남는 주차 공간은 겨우 228대에 불과하다.

 서울시에서는 자전거로 공원을 이용하라고 장려하고 있으나 영·유아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 등 자동차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 경우는 배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터넷서울신문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지역 곳곳 목소리 전달… 대한민국 전체 바꿀 것”

기초단체장 최초 민주당 대변인 맡은 김미경 은평구청장

‘핫플’ 성수, “1.5조 동네 됐네”

10년 만에 연 경제 가치 3.5배 늘어 외국인 300만명 방문… 50배 급증 기업 유치·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정원오 성동구청장 “정책적 결실”

축제 사고율 0%… 중랑 안전관리 최우수상

AI로 인구 밀집도·혼잡 선제 조치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