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토론회 열어 시민의견 수렴… 품격·기능·유치행사 등도 전면논의
서울시가 시민과 전문가들의 의견에 귀기울여 광화문광장 운영 방향을 수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광장의 조형물을 최소화하고 주변 교통체계를 조정하는 내용의 토론회가 열리게 된다. 토론회에선 광장 주변 나무 식재에 대해서도 논의하게 된다.서울시는 8일 서소문 청사에서 기자브리핑을 갖고 세 차례의 공개 토론회를 거쳐 광장 주변 교통이나 시설물 배치 등의 기본 운영 방침을 확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 8월1일 광장 개장 이후 주변 교통이나 시설물 설치 등과 연계된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돼 온 데 따른 것이다. 시는 우선 여론수렴을 위해 광장 개장 6개월을 맞는 내년 2월 전문가 중심의 1차 토론회, 개장 1주년인 8월 시민이 참여하는 2차 토론회를 각각 개최한다. 시는 마지막으로 광화문 복원이 끝나는 시점에 3차 토론회를 열어 광장의 성격과 운영 방향을 결정할 계획이다.
토론회에선 ‘국가 상징물’로서 광장의 품격과 정체성 확립 방안, 보완 필요 시설물, 주변 시설물과의 연계방안 등이 논의된다. 또 광화문광장을 비롯해 서울광장, 청계광장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서도 토론이 진행된다.
시는 아울러 광장의 역사성과 디자인 등 기본 설계 틀을 유지하되 스케이트장 운영이나 스노보드 국제대회 유치 등 계절별 행사에 대해선 각계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다.
한편 서울시는 이날 브리핑에서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가 최근 제기한 ‘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광장을 사용하도록 하자.’는 주장에 대해선 추후 논의 계획을 언급하지 않았다.
서울시는 조례를 통해 광화문광장에서 국가 또는 지자체가 주관하는 행사, 문화·예술행사, 어린이·청소년 관련 행사 외에는 개최를 금지하고 있다. 광화문광장은 개장 이후 지난 6일까지 모두 602만 1000명이 다녀갔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09-12-9 12:0:0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