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세종시 수정안이 발표된 지난 11일 “도민의 여론을 수렴해 필요할 경우 충청권 발전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정부에 보완 의견을 제시하겠다.”며 사실상 수정안을 받아들이는 모호한 입장을 보였다.
이 부지사는 “수정안에 대한 도의 입장은 (행정안전부의 지침이 아니고) 자체 결정한 것”이라면서 “세종시 문제는 행정을 넘어 정치적 영역 싸움인데 우리가 끼어들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고도 말했다. 도민의 뜻을 받들어야 하는 지사 역할과 정부 정책을 따라야 하는 직업공무원 위치에 있는 권한대행자로서의 고민이 읽힌다. 이 부지사도 이완구 지사 재직시 ‘원안고수’ 입장이었다.
이런 가운데 도의 관련 부서는 충청 민심을 정부에 건의하는 문제에 대해 “현재 아무것도 준비하는 게 없다.”고 밝혔고, 모 간부는 “중앙부처를 갈라놓는 게 사실상 말이 안 되는 게 아니냐.”고 속내를 드러내는 등 조직과 직원들도 갈팡질팡하고 있다.
정우택 충북지사와 박성효 대전시장이 각각 “정부와 여당이 몰아붙이면 중대한 결심을 할 수밖에 없다.”, “옆집(세종시) 잔치에 우리 집 돼지(대덕연구개발특구)를 잡는 꼴이 될 수 있다.”고 불만을 표출하면서 자치단체와 지역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모습과 대조적이다.
이 때문에 이완구 전 지사가 지난달 3일 사퇴를 발표할 때 “청와대에서 세종시 문제를 다루기 쉬워졌다.”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이 전 지사는 지난 11일 충남도청 기자실를 찾아 수정안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원안 말고는 대안이 없다.”고 비판하는 등 사퇴 후 도청 밖에서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으나 현직 지사로 하는 것보다 파괴력이 클지는 의문이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10-01-14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