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는 새만금 내부개발의 최우선 과제인 수질개선을 위해 만경·동진강 유역 2개 권역 17개 지구에 2조 9000억원을 투입해 담수량 늘리기, 하천 준설 사업 등을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
주요 사업은 저수지 담수량 늘리기, 하천바닥 준설, 샛강과 습지 복원 등 4대강 살리기와 비슷하다.
만경강의 경우 11개 지구에 1조 8181억원을 투입해 레저공원 조성 등 대대적인 정비사업을 추진한다.
상류지역은 하천 유지 용수 확보와 하천 환경 보전 등 5개 지구에 4266억원을 투입한다. 고산천과 소양천이 합류하는 회포대교 인근에 터지내 수변공원을 조성한다. 이곳에는 다목적 공원과 2개 수변공원을 만들어 주민들의 친수활동 공간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중류지역은 3개 지구에 6808억원을 들여 훼손된 하천 환경 보전과 복원사업을 추진한다.
하류지역은 하천 본래의 모습과 기능을 복원하기 위해 7107억원을 들여 3개 사업을 추진한다. 공덕대교 상류와 만경대교 사이에 갈대습지 공원이 들어선다.
동진강 살리기 사업은 6개 지구에 1조 985억원을 투입한다.
동진강은 재해예방이 우선시되는 수계인 점을 감안해 제방보강, 갑문 자동화, 저류지 설치, 하도 준설 등 사전재해예방 사업을 우선 추진한다.
또 친환경적 하천환경정비와 유지용수 확보를 위해 하천환경 정비, 생태습지 조성, 침전 저류지 설치 사업을 벌인다.
이와 함께 역사·문화·친수 공간이 될 수 있도록 눌제와 만석보를 복원하고 자전거도로를 건설할 방침이다.
도는 만경·동진강 살리기 사업이 조기에 착수될 수 있도록 국가사업에 반영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만경·동진강 살리기 사업은 새만금 수질 개선과 생태벨트 조성 등 새만금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 기반이 마련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2010-03-18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