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지역에는 현재 섬유·염색 관련 업체 66곳이 운영 중이며, 도는 산업단지가 조성되는 오는 2013년까지 단계적으로 40~50곳의 업체를 추가 입주시킬 계획이다.
시는 산업단지 조성 후 공장과 부대시설 등에 하루 2만 6000t 이상의 물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 용수원은 임진강 지류인 포천천이 전부인 데다 하루 최대 공급량도 2000여t에 불과해 현재 입주업체들조차 고질적인 용수난에 시달리고 있다.
실제로 현재 34곳의 섬유 관련 업체가 입주한 포천시 신평단지의 경우 정상적인 공장 가동을 위해서는 하루 3000~4000t 정도의 용수가 필요하지만 물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공장 가동률은 50~60%에 머물고 있다.
연천군 청산단지 역시 인근 한탄강에서 공업용수를 공급받고 있지만 물 부족으로 장마철과 갈수기에는 수질이 급격히 악화돼 정상 조업조차 힘든 실정이다.
도는 한센촌 산업단지 조성 이전에 물문제를 해소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올초 1000~2000t 규모의 용수 추가 공급과 취수장 설치를 한강홍수통제소에 요청했다. 그러나 한강홍수통제소는 임진강 홍수예보와 지방하천 관리를 이유로 신규 허가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현재 이 지역에 용수를 공급하고 있는 포천천을 제외하면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뚜렷한 대안이 없다.”며 “산업단지 조성 세부계획이 확정되면 한강홍수통제소에 용수의 추가공급 문제를 적극 설득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윤상돈기자 yoonsang@seoul.co.kr
2010-03-19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