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내년부터 2년간 연안어선과 근해어선 선원에 실시간 위치 파악이 가능한 RFID 구명조끼를 보급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내년에 7억 5000만원을 들여 근해어선에 RFID 구명조끼 3000개, 연안어선에 2000개를 보급한다. 이어 2012년에는 5억원을 들여 연안어선에 2000개, 낚시어선에 1000개를 지원한다.
RFID 구명조끼는 해양경찰청 해양안전관리시스템과 관제시스템, 수신기, GPS 단말기 등에 선원들의 위치를 정기적으로 송신한다.
해난사고 때는 선원이 구명조끼에 있는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같은 방식으로 조난자 위치와 선원의 인적사항이 같은 방식으로 전송된다. 수신기와 GPS 단말기만 설치하면 해군함정과 어업지도선, 다른 어선에서도 조난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RFID 구명조끼는 현재 해경함정 16척에 320개가 보급돼 있으며 어선에 보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하지만 RFID 구명조끼가 보급되더라도 해경과 어업지도사무소, 해군 등이 수신기와 GPS 단말기를 확보해 함정과 어업지도선, 헬기 등에 설치해야 RFID 구명조끼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다. 또 RFID 구명조끼 단말기 송신 거리가 5∼15㎞여서 되도록 많은 구난·수색 선박에 수신기가 장착돼야 인명구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정부에 해경함정, 헬기 및 지도선 등에 수신기 보급을 확대해 줄 것을 건의할 계획이다.
부산 김정한기자 j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