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진주로 일괄이전” vs 전북 “진주·전주 분산이전”
정부 중재에도 불구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 이전을 놓고 경남·전북도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국토해양부는 23일 1차관 주재로 열기로 했던 LH 지방이전 협의회 제4차 회의를 다음달 초로 연기했다. 국토부는 진주 혁신도시로 일괄 이전해야 한다는 경남과 진주·전주 혁신도시로 분산 이전하자는 전북도의 주장에 변함이 없어 회의를 하더라도 이견이 좁혀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해 회의를 미룬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진주 혁신도시로 이전하기로 했던 주택공사와 전주 혁신도시로 옮기기로 했던 토지공사가 합쳐진 LH는 자산규모가 105조원에 이르는 거대 공기업이다. 이전에 따른 지방세 수입을 비롯해 파급효과가 커 경남과 전북 모두 양보를 하지 않고 있다.
경남은 진주혁신도시로의 일괄이전을 고수하고 있다. 토공과 주공을 공기업 효율화 차원에서 합친 마당에 다시 나누어 진주와 전주 혁신도시로 분산 배치하는 것은 통합 취지에도 맞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일괄이전을 하는 대신 LH가 가지 않는 지역에는 그에 맞먹는 대안을 주는 방식으로 빨리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전북은 두 기관의 기능을 나눠 이전하더라도 빨리 결정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전북도 본래 LH를 전주로 일괄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현실적으로 두 지역간 다툼이 끊이지 않자 LH본사는 전주로 옮기고 나머지는 진주혁신도시로 이전하는 수정안을 내놓고 이를 밀어붙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토부는 두 지자체의 조정·결정만 기다리고 있어 회의를 거듭하더라도 LH 이전 논의는 제자리를 맴돌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난해 말까지 결정하기로 했던 LH이전 결론이 늦어지면서 전주·진주혁신도시로 이전키로 했던 다른 공공기관도 눈치를 살피는 분위기가 확산돼 자칫 혁신도시 건설의 차질도 우려된다.
창원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2010-07-2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