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교통낙도 풍도·육도지역 ‘바다콜센터’
“말이 경기도민이지 그동안 타지역 사람이나 다름없었어요.”경기도가 운항하고 있는 이동 민원선 ‘경기 바다콜센터’가 서해 섬마을 주민들의 발이 되고 있다.
안산시 대부동 풍도와 육도는 각각 63가구 112여명, 26가구 42여명이 살고 있으나 인천에서 운항하는 여객선이 육지로 연결되는 유일한 길이었다.
주민들은 민원을 처리하기 위해선 배로 2시간 이상 걸리는 인천 연안부두로 간 뒤 다시 육로를 통해 안산으로 가야 했다. 이 섬의 이장들도 회의 참석차 안산시청을 방문하려면 주민들과 마찬가지로 인천으로 돌아가야 했다. 보통 1박2일 정도 소요되나 풍랑이 심하면 3~4일 걸릴 때도 있었다.
행정구역은 경기도지만 사실상 생활권은 인천시였다. 때문에 차라리 행정구역을 인천으로 옮겨 달라는 요청도 적지 않았다.
이방인이나 다름없었던 풍도와 육도 주민들이 진정한 경기도민이 된 것은 지난 1월 초부터. 섬을 방문한 김문수 지사가 주민들의 이같은 사정을 알고 대책을 마련토록 지시한 뒤다. 도는 80 t급 어업지도선 1척과 안산시가 보유한 18t급 어업지도선 1척을 이동민원선인 바다콜센터로 운영하고 있다.
바다콜센터는 어민들을 대상으로 한 어업지도 외에도 환자를 이송하거나 민원서류 전달 등의 행정편의를 제공하고, 뭍으로 나오는 주민들을 태워 오는 등 1인 3역의 역할을 하고 있다.
경기 212호 김원택(55) 선장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하루 한차례씩 안산 탄도항~풍도~육도를 운항하고 있다.”며 “각종 민원업무 처리와 함께 이동진료와 문화예술단 공연까지 하기때문에 주민들의 정체성을 갖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풍도 통장 김수연(45)씨는 “민원을 처리하기 위해 뭍으로 가는 시간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 이제야 경기도민이 된 것 같다.”고 환하게 웃었다.
이진찬 도 농정국장은 “섬김행정, 현장행정은 섬지역이라고 예외가 돼서는 안 된다.”며 ”서해 섬마을 주민들을 위해 새로운 이동민원선을 추가로 투입하고 방파제와 선착장 개·보수, 순환도로 개설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글 사진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2010-08-2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