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운태 광주시장은 28일 이와 관련 “중앙 관계 부처 협의가 끝나는 1월 하순쯤 특구 지정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광주는 대덕과 달리 연구와 산업을 아우르는 개방형 특구로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주시는 이를 위해 공청회·주민 의견 수렴 등을 거쳐 지난달 특구 구역을 당초보다 축소 재조정한 뒤 연내 지정을 요청했다.
그러나 정부가 ‘광주 특구’를 ‘대구 특구’와 동시에 지정·고시하기로 하면서 지금껏 지연돼 왔다.
광주시는 오는 2015년까지 첨단 1·2·3지구와 신룡지구, 진곡지구, 장성 남면 일대, 나노산단 등 18.73㎢에 R&D 특구를 조성한다. 시는 이곳 일대를 연구단지 중심의 대덕 R&D 특구와 달리 생산복합단지 및 한국과 중국, 일본의 공동 투자 지역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주로 지역 전략 산업인 광(光) 분야의 융복합산업, 신재생 에너지·나노 분야 등의 연구소와 기업체 등이 들어선다.
시는 오는 2025년까지 R&D 특구 조성과 기업 유치 등을 통해 15조원의 경제 유발 효과와 3만여명의 고용 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당초 50여㎢를 특구로 지정할 계획이었으나 연구소·관련 기업 입주 등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특구 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우선 18㎢ 정도로 구역을 조정했다.”며 “1단계(2011~2015년)로 국비 등 4800여억원을 투입해 과학기술 인프라 구축과 정주 환경 조성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10-12-2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