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체계 개선·적성고려 인사를”
지난 3년간 공무원 및 공기업 직원 10명 중 4명 꼴로 근로의욕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젊은 공무원일수록 ‘생활유지’를 위해, 장년층일수록 ‘자아실현’을 위해 일을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고용노동연수원이 지난해 10월부터 45일간 공무원 및 공기업 직원 152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38.6%(589명)가 지난 3년간 ‘근로의욕이 줄었다’고 답했다. 38.7%(590명)는 ‘변화가 없다’고 대답했고, ‘근로의욕이 높아졌다’는 22.7%(347명)에 불과했다.
근로의욕이 떨어진 이유는 ‘승진누락 및 보상체계 미흡 등으로 인한 불만’이 36.7%로 가장 높았다. ‘일(직무) 자체에 대한 불만’이 36.2%였고, ‘좋지 않은 인간관계’(7.9%), ‘부동산 등 쉽게 돈버는 사람이 많아서’(5.6%), ‘고용불안’(2.2%) 등 순이었다.
특히 일 자체에 대한 불만은 막 취업한 20대가 58.5%로 가장 높았고, 승진누락 및 보상체계 불만은 중간 간부급인 40대가 40.2%로 가장 컸다. 근로의욕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는 ‘능력과 적성에 맞는 인력 배치’가 29.1%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이외 관리자의 합리적 경영(18.9%), 적정한 임금수준(15.1%), 일과 가정의 균형(12.8%), 승진 등 공정한 인사체계(10.6%), 상하간의 의사소통(9.9%) 등이 있었다.
공공업무를 하는 목적에 대해서는 41.2%가 ‘생활유지’라고 답했다. ‘자아실현’이 20%, ‘당연히 일해야’ 16.1%, ‘능력 개발’은 11.4%의 응답률을 보였다. ‘국가 사회에 공헌하기 위해서’라고 답한 이는 9.6%, ‘출세나 명예를 위해 일한다는 이는 1.7%에 불과했다.
세대별로 20대와 30대는 ‘생활유지’를 위해서 일하는 경우가 절반을 넘었다. 반면 50대와 60대는 ‘생활유지’라고 답한 이들은 20%대에 불과했고 ‘자아실현’을 위해 일하는 경우가 각각 27.1%와 30%로 청년층보다 월등히 높았다.
정부 관계자는 “공무원 및 공기업 직원 상당수가 단지 생활을 위해 직장을 다니는 점을 볼 때 주인의식을 가지고 직무에 몰입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특히 능력과 적성을 고려한 인사가 해결책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