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재청은 지난 15일 ‘동일본 대지진’ 사태를 맞아 16일 국내 지진방재대책을 발표한다고 밝혔으나 보고 당일 오전 급히 이를 취소했다.
방재청 관계자는 보고 자료가 준비되지 않아 보고 일정을 늦춘다고 해명했으나 지진방재대책을 국회와 국무회의에 보고조차 하지 않고 언론에 먼저 공개하려 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 중요정책 발표 절차도 모른다?
중앙부처 관계자는 “국가 중요 정책은 해당 부처가 국회와 국무회의에 보고한 뒤 언론에 최종 발표하는 것이 정상적인 절차”라면서 “방재청의 행태를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방재청은 이에 앞서 15일 실시된 민방위 훈련도 북한의 공습에 대비한 훈련으로 진행한다고 밝혔지만, 훈련 실시 하루 전날 강원도 등 동남해안 인접 지역은 쓰나미 대피 훈련을 실시하기로 계획을 변경했다. 하지만 이날 실시된 쓰나미 대피 훈련은 해당 공무원만 참여하는 등 전형적인 전시행정이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공무원 그들만의 재난대비 훈련
또 민방위 훈련에 군 장갑차 투입을 계획한 방재청은 국방부와 협의 끝에 장갑차는 빼기로 했지만, 이러한 내용이 실무진에게 전달되지 않아 훈련 사상 최초로 장갑차가 등장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방재청은 일부 언론에서 이를 보도하자 뒤늦게 장갑차는 동원되지 않는다고 발표를 뒤집었다.
방재청은 지난달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지진 발생 당시에도 119 국제구조대 출정식을 갖고 구조대원 22명을 현장에 보낸다고 밝혔으나 언론 보도 이후 뉴질랜드 정부의 거절로 지원이 무산된 바 있다.
방재청의 어설픈 행정처리와 과도한 홍보경쟁에 뜻하지 않게 ‘오보’를 냈던 출입기자단도 더 이상은 방재청을 믿지 못하겠다는 분위기다.
박성국기자 psk@seoul.co.kr
2011-03-1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