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도 놀러 오는’ 순천만국가정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대구마라톤에 세계 엘리트급 17개국 160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마다 청년 범위 들쭉날쭉… 인구구조·재정 형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관광·지역경제 활성화”… 지자체들 캐릭터 마케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역 일자리 우리 힘으로] (2) 영월 ‘박물관 창조도시’ 사업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관광사업으로 폐광도시에 새 활력

강원 영월에서 1년 전부터 문화해설사로 근무하고 있는 엄영임(53·여)씨는 단종 때 충신 엄흥도의 32대 후손이다. 엄흥도는 ‘유배지(영월 청령포)에서 숨진 단종의 시신에 손을 대는 자는 삼족을 멸한다.’는 세조의 명을 어기고 시신을 수습해 문중 선산에 묻은 충신이다. 엄씨는 어릴 때부터 영월 단종 문화제를 보면서 엄흥도의 충정을 흠모해 왔다고 한다. 단종의 정신을 기리는 일을 하면 보람 있을 것 같았지만 자녀들이 장성할 때까지 어머니와 아내의 역할에 충실해야 했다. 그러던 중 뜻밖의 기회가 찾아왔다. 인터넷 모집광고를 통해 지난해 6월부터 영월군 소속 문화해설사로 일하게 됐다.




문화해설사로 활동 중인 엄영임(왼쪽)씨가 강원도 영월군에 위치한 ‘고씨굴’ 앞에서 관광객들에게 천연동굴이 생긴 유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엄씨가 현재 근무하는 곳은 단종이 묻힌 장릉이 아닌 천연동굴인 ‘고씨굴’이다. 충신 엄흥도의 후손임에도 단종 역사를 깊이 있게 알지 못한 게 부끄러워 단종 역사에 대해 공부 중이다.

하지만 1년 뒤에는 장릉에 위치한 단종역사관으로 자리를 옮겨 단종 역사를 관광객들에게 제대로 전달하겠다는 꿈에 부풀어 있다.

‘박물관 고을’로 불리는 영월은 엄씨 같은 문화해설사를 꾸준히 양성하고 있다. 2002년 한 명에서 시작했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3~4명을 채용, 현재 19명의 문화해설사가 활동 중이다. 이들의 월급은 70만원대지만, 지역 일꾼으로서 단종 역사와 김삿갓 문학으로 대변되는 영월을 알린다는 자부심만은 대단하다.

이들은 박물관뿐 아니라 단종과 김삿갓의 유적지, 천혜의 자연환경 등 문화·역사·자연이 어우러진 영월을 관광도시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전도사’ 역할을 맡고 있다.

영월은 탄광도시였다. 1960~70년대 세계 제1의 텅스텐 생산지로서 대한민국의 동력 공급원이었다. 1971년 당시 영월은 강원도에서 가장 큰 군(郡)으로 인구가 14만명에 육박, 시 승격(15만명 이상)을 앞두고 있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 석탄합리화 정책으로 폐광 지역이 되면서 인구가 급속도로 줄어 지난해에는 4만여명에 그쳤다.

위기의식을 느낀 영월은 2000년대 중반 이후 폐광 지역을 세계적 박물관 고을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난해에는 ‘GL(Glocalization·세계화와 지역화의 합성어) Job’이라는 명칭으로 고용노동부의 ‘지역일자리 공시제’ 브랜드사업 부문에서 입상했다.

현재도 19개의 박물관을 운영 중인 영월은 4년 내로 박물관 7개를 더 만들어 ‘지붕 없는 박물관창조도시’로 변신할 계획이다.

특히 박물관과 연계한 관광사업을 통해 4년간 일자리 8300여개를 만들기 위한 과정을 차근차근 밟고 있다. 리조트 ‘동강시스타’가 지난달 준공됐고 ‘상동 숯마을 조성사업(찜질·온욕 시설 등)’, 상동온천개발사업, 곤충산업 육성지원센터 조성사업 등이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현재 연간 약 100만명의 관광객을 4년 안에 300만명으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영월군 관계자는 “박물관고을육성사업과 관광사업을 연계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면 다양한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면서 “전통과 역사가 살아숨쉬는 세계적 박물관고을로 도약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라고 강조했다.



글 사진 영월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1-06-02 15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