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은 조만간 다금바리 치어 3만 마리를 제주 연안에 방류한다고 11일 밝혔다. 연구원은 지난 5월부터 자체 보유한 다금바리 암컷에서 채취한 알과 수컷의 정자를 인공수정시켜 수정란을 얻어냈다. 여기서 부화한 치어를 80여일간 사육한 끝에 4~6㎝급 종묘로 키워내는 데 성공했다. 이 다금바리 새끼들은 폐사 우려가 있는 해상에서의 중간 육성 과정을 거치지 않고, 육상수조에서 5~8㎝ 크기로 키워낸 뒤 제주 연안에 방류될 예정이다.
해양수산연구원은 제주 연안에서 다금바리의 개체 수가 줄어들자 2004년 다금바리 종자 대량 생산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다금바리는 자연 상태에서 생후 10년 정도 지나야 암컷 중 일부가 수컷으로 성전환하는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연구원은 수컷 어미를 구하는 데 애를 먹었다. 또 갓 부화한 새끼의 입 크기가 매우 작아 이에 맞는 먹이생물을 개발하지 못한 것이 종자 양식의 걸림돌이 됐다.
그러나 해양수산연구원은 7년여의 실험 끝에 인공수정 기술을 비롯해 갓 부화한 새끼에 주는 먹이생물 개발과 적절한 사육환경 조성 등 생산기술 확립에 성공했다.
해양수산연구원 등에 따르면 제주에서 잡히는 다금바리는 연간 3~5t에 불과한 탓에 제주도 내에서 하루에 소비될 수 있는 자연산 다금바리는 13㎏, 3~4마리에 불과하며 가격은 ㎏당 20만원 선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제주에서는 동남아나 일본 등지에서 수입한 값싼 능성어가 제주산 다금바리로 둔갑해 팔리기도 한다. 제주도 관계자는 “연구 중인 다금바리 속성 양식기술이 개발되면 양식 다금바리를 쉽게 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kkhwang@seoul.co.kr
2011-08-12 1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