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경기도에 따르면 국토해양부가 GTX 시설사업 기본 계획에 관한 용역비 50억원을 편성해 달라고 기획재정부에 요청했으나 재정부는 예비타당성 조사가 우선돼야 한다며 삭감했다.
GTX 사업은 정부 고시 사업이어서 원칙대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먼저 해야 한다는 것이 재정부의 입장이다. 예비타당성 조사는 4개월가량 걸려 그만큼 GTX 착공이 늦어지는 셈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사업성이 확실한 만큼 예비타당성 조사를 생략해도 될 텐데 예산 부처에서 원칙을 강조한 측면이 있다.”면서 “국회 심의 과정에서 관련 예산이 반영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GTX는 예비타당성 조사에 이은 시설사업 기본 계획 고시, 민간 제안서 접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실시설계 등의 절차를 거치면 빨라야 2013년에 착공이 가능할 전망이다. 공사 기간은 5~6년 소요된다. GTX는 지하 40~50m에 건설된 터널 속을 최고 시속 200㎞로 달리는 광역급행철도다.
경기도는 일산~동탄과 송도~청량리, 의정부~금정 구간 등 3개 노선을 정부에 제안해 신규 사업으로 낙점을 받았다.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2011-10-1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