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업 지원·기업육성 목표 수십억부터 최대 2000억 규모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개발이나 기업지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앞다퉈 펀드를 조성하고 있다.24일 전북도에 따르면 자치단체들이 지역의 특색 사업을 지원하거나 기업 육성을 위해 100억~2000억원대의 투자 펀드를 조성하고 있다. 전북도의 경우 한국정책금융공사와 함께 150억원 규모의 ‘전북 지방경제 활성화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2007년 110억원에 이어 두 번째다.
●전북, 150억 규모 지방경제 활성화 펀드
정책금융공사가 100억원, 전북도와 전주시, 군산시, 익산시, 농협, 전북은행 등이 나머지 50억원을 나누어 출자한다. 서울투자파트너스가 내년 2월 공동조합을 설립해 7년간 운용한다. 이 자금은 자동차 부품소재, 신재생에너지 산업 등 전북의 10대 전략산업 분야 기업과 유망기업, 벤처기업 등에 집중 지원된다. 지자체의 투자펀드 조성은 2006년 충북도가 110억원의 ‘바이오토피아펀드’를 조성해 성공한 이후 꼬리를 물고 있다.
충북은 2007년에도 ‘경제특별도펀드’ 500억원을 조성했고 전북도가 같은 해 ‘전북전략산업투자펀드’ 110억원을 조성해 도내·외 6개사에 지원했다. 당시 출자자들은 10%가량의 이윤을 얻었다. 2009년에는 전남도가 ‘그린에너지펀드’ 76억원을 조성해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을 지원했다. 2010년에는 6개 자치단체가 공동 또는 단독으로 펀드를 결성해 지역의 기업 지원에 나섰다.
부산시-경남도, 대구시-경북도는 공동으로 벤처기업육성 펀드 300억원을 각각 조성했다. 강원도는 지역의 우량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AK강원인베스트먼트상생경제1호 투자조합펀드’ 150억원을 결성했다.
●대전시, 250억 규모 벤처투자조합펀드
대전시도 ‘벤처투자조합펀드’ 250억원을 조성해 유망 벤처기업들에 집중 지원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인천개발펀드’ 2000억원을 조성해 경제특구 개발에 나섰다. 경기도와 고양시는 300억원의 ‘영상전문펀드’를 조성, 지역문화콘텐츠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이처럼 자치단체들이 잇따라 투자펀드 조성에 나서고 있는 것은 원금 손실 없이 지역 기업들에게 직접 투자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지자체가 직접 투자하거나 보조금 형태로 기업에 지원하면 재정 손실을 볼 수 있지만, 펀드는 운영사가 자금을 관리하기 때문에 투자 위험을 줄이면서 기업을 지원하고 투자수익도 기대할 수 있는 1석3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함께 지자체가 투자하는 예산보다 많은 자금을 금융공사 등에서 끌어와 지역 기업에 지원할 수 있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열악한 지방재정을 보충해주는 효과도 크다.
다만 한 펀드매니저는 “펀드 투자는 반드시 수익을 내서 투자자들에게 돌려줘야 하는 성격이기 때문에 지역개발 등 공공사업일지라도 집요하게 수익을 추구하면서 자칫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2011-11-2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