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공사는 악취 문제로 인해 인천 서구 청라지역 주민들의 집단 항의로 혼쭐이 났다. 큰집격인 환경부가 악취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주민들을 자극하는 행위나 부수적인 사업을 잠정 중단토록 함으로써 ‘에너지 타운’ 조성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향후 하수슬러지와 음식물 폐수 등 유기성 폐기물의 해양투기가 금지됨에 따라 처리시설 확충과 신규 증축에 나섰으나 모두 중단된 상태다.
한국환경공단과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각각 수장 공모와 내부 인사 문제로 노조와 대립하고 있다. 한국환경공단은 한국환경자원공사와 환경관리공단이 합쳐져 지난 2010년 초 출범했다. 애초 성격이 다른 두 기관이 합쳐지다 보니 아직도 ‘한 지붕 두 가족’으로 겉돌고 있다. 이런 갈등 속에 최근에는 경영진이 특정 인물을 주요 보직에 앉히려 하자, 이에 반발한 노조위원장이 단식투쟁에 들어갔다. 오늘로 4일째다.
국립공원공단도 공석인 이사장 자리에 정광수 전 산림청장 내정설이 나돌면서 노조가 반발하고 있다. 현재 공모 과정을 거쳐 정 전 산림청장과 송인순 현 공원공단 탐방관리이사, 김영화 전 환경분쟁조정위원장 등 3명이 최종 후보로 압축돼 인사 검증에 들어간 상태다. 공단 직원들은 그동안 껄끄러운 관계였던 정 전 청장이 이사장으로 오는 것은 ‘공단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속을 끓이고 있다. 세 기관의 속앓이는 해가 바뀌어도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2011-12-2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