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섭 마포구청장 새해포부
마포구와 용산구에 걸쳐 자리한 용산(龍山)은 북악산에서부터 뻗어온 용이 한강물을 마시고 있는 모습과 닮았다고 하여 그런 이름이 달렸다. 그러나 1904년 일제가 대륙침략을 위해 경의선 철도를 건설하면서 용의 허리를 댕강 잘라버렸다. 그로부터 기운이 쇠해져 이 지역에는 큰 인물이 나오지 않는다는 얘기까지 내려온다.마포구는 이렇게 끊어진 용의 허리를 복원하고 해당 지역을 복숭아꽃이 만발한 ‘걷고 싶은 거리’로 조성할 계획이다. 박홍섭 구청장은 17일 “주민들의 뜻에 따라 올해부터 경의선 지상구간 공원화 사업을 추진한다.”며 “특히 지금의 새창고개와 용마루고개로 갈라진 부분을 복토하고 복숭아밭을 조성해, 만발한 복사꽃이 한강물에 비치는 절경을 되살려 낼 것”이라고 말했다.
마포구 도화동과 용산구 도원동을 갈라놓은 경의선 구간은 현재 지하로 들어간 상태다. 그렇게 남은 지상 공간을 주민들을 위한 공원 및 산책로로 꾸미겠다는 게 박 구청장의 생각. 그는 “절개지 복토는 용산구와 협의과정을 밟아야 하는 부분”이라며 “복토되면 1만㎡ 정도 부지를 새로 얻을 것으로 보여 공원 및 복숭아밭의 규모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박 구청장은 올해 관내 관광자원 개발에 열성을 갖고 있다. 홍대 앞 거리 활성화, 도화동·용강동 상권 활성화 사업 및 새우젓축제 등 지역축제도 이와 맞닿아 있다. 박 구청장은 “관광, 산업, 고용, 복지를 따로 볼 게 아니며 모두 주민들 삶의 질과 연결돼 있다.”며 “그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상승 효과를 내도록 일을 추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구청장의 핵심 공약인 일자리 창출도 올 한 해 정성을 쏟을 부분이다. 지난해 박 구청장은 해외시장개척단장을 직접 맡아 관내 중소기업 관계자들을 이끌고 직접 남미 지역으로 날아가 하루 3시간도 못 자는 강행군을 견뎌냈다.
박 구청장은 1300명에 이르는 구청 조직 운영에 대해서는 ‘자유와 책임의 조화’, ‘청렴’을 강조했다. ‘민주적 리더십’이란 평가를 받는 평소 철학에 따른 것이다. 또 “결국 업무를 하는 사람은 공무원들이고, 기관장은 이들에게 신명 나게 일할 마당만 만들어 주는 것”이라며 “윗사람 눈치만 보는 행태를 극복하고 관료사회 민주화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구속받고 눈치를 보며 일하는 시대가 아니라는 점을 되새겨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2-01-1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