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환경단체와 종교단체 등은 민족의 영산을 훼손한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리산 케이블카를 놓고 인접 자치단체 간 대립 구도가 형성되고 주민들도 찬반으로 나뉘어 공방을 벌이고 있다.
남원시는 산내면 반선마을~반야봉 간 6.6㎞ 노선이 경제성과 경관 확보 면에서 최적지라고 주장한다. 구례군은 산동면 지리산온천에서 노고단에 이르는 4.3㎞ 노선이 환경 파괴, 로드킬 문제가 심각한 성삼재 도로를 대체 할 수 있다고 내세운다.
함양군과 주민들이 참여하는 지리산케이블카유치위는 백무동~장터목 간 4.1㎞ 구간이 탐방객이 가장 선호하는 지역이고 사업비도 적게 든다고 설명한다. 산청군은 중산리~제석봉 간 5.4㎞에 대한 사업 계획서를 환경부에 제출했다.
하지만 지역 환경단체와 종교단체들은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지리산을 사랑하는 사람들’ ‘지리산생명연대’ 등 환경단체들은 지난 21일 전북·전남·경남도청에서 동시에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 단체는 “지리산은 생태계의 마지막 보루이기 때문에 케이블카 사업을 졸속으로 추진해서는 안 된다.”면서 “어느 한곳만 선정되면 나머지 지역에서 반발하기 때문에 지리산의 공동체 삶을 파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환경부가 지리산 케이블카 사업 설치 기준을 대폭 강화해 논란이 일고 있다. 환경부는 최근 생태자원과 경관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선을 엄격히 제한하는 기준을 지자체에 통보했다. ▲노선에 천왕봉, 노고단, 제석봉, 반야봉 등 주요 봉우리 제외 ▲케이블카 이용객이 기존 탐방로를 따라 지리산 정상으로 오를 수 있도록 할 것 등이다.
이에 대해 지자체들은 경제성, 환경성을 재검토해야 하고 설계 변경을 하려면 신청서 보완 기간이 촉박하다며 전전긍긍하고 있다. 상부 정류소를 수백m씩 낮춰야 해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2012-02-2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