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는 26일 성명을 통해 “지난달 9일 발생한 고리원전 1호기 정전사태는 반경 30㎞이내에 거주하는 320만명이 넘는 부산, 울산, 경남 주민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뻔 했다”며 “사고은폐 및 축소에만 급급하는 정부의 안이한 태도에 국민은 분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게다가 지난 3월23일에는 시험가동 중이던 신고리원전 2호기가 부품고장으로 가동이 정지되는 사고가 발생했다”며 “한국수력원자력 측은 안전에 문제가 없다지만 고리원전 1호기 정전사고를 은폐했던 한수원의 발표를 믿을 국민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에 따라 김 지사는 “340만 경남도민의 안전을 책임진 도지사로서 이미 낡고 사용연한이 지난 고리원전 1호기를 폐쇄할 것을 촉구한다”며 “인구밀집지역에 위치한 노후 원전은 언제 사고가 발생할지 모르는 시한폭탄과 같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김 지사는 “수명이 다한 원전은 계속 가동하면서 외국의 정상들을 불러들여 핵안보를 논의하는 것은 국민들이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라며 “올 11월 수명연한이 끝나는 월성원전 1호기의 재활용계획도 백지화하기 바라며, 그것이 남은 임기동안 국민을 위해 할 수 있는 값진 선택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뉴시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