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리장 완공 5곳뿐… 13곳은 아직도 공사중
●2010년부터 447억 투입
26일 전북도에 따르면 새만금유역 관리를 위해 2010년부터 447억원을 투입해 7개 시·군의 21개 하수처리장에 총인 저감시설 설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전체 처리용량은 67만 3000t이다. 환경부가 새만금지구로 유입되는 방류수의 총인 함량을 2에서 0.2으로 10배 강화했기 때문이다. 새만금 상류는 기준이 가장 엄격하게 적용되는 ‘1지역’으로 분류돼 있다.
그러나 총인 처리시설 설치 대상인 새만금 유역 21개 환경기초시설 가운데 사업을 완공한 하수처리장은 대야, 회현, 옥서, 서수, 임피 등 군산지역 소규모 처리장 5곳뿐이고 13곳은 공사 중이다. 특히 전체 21개 하수처리장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전주를 비롯한 3곳은 아직도 공법 선정을 하지 못해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道 “내년까지 완공할 계획”
전주 하수처리장의 경우 처리량이 40만 3000t으로 새만금 유역 전체 총인 처리사업 67만 3000t의 60%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크다. 나머지 20개 하수처리장의 총인 처리시설이 모두 완공된다 할지라도 전주 하수처리장 사업이 지연되면 아무런 효과가 없는 셈이다. 또 현재 사업계획으로는 공사 중인 13곳을 올해 안에 마무리할 계획이지만 지방비 부담이 커 제때 완공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사업이 늦어지는 전주처리장과 3만t 규모의 익산 북부처리장, 익산 금마처리장(1100t) 등은 공법과 시공업체 선정 절차를 밟아 내년에나 완공될 전망이다.
이에 대해 전북도는 “현재 계획은 내년 말 완공이 목교”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말 새만금 유역 2단계 수질개선 종합대책 세부 실행계획을 발표하면서 수질개선 효과가 높은 총인 처리시설 설치 사업을 최우선 순위로 정했다. 총인은 하천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지표로 축사가 밀집된 새만금 유역 수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항목이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