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까지만 해도 광양시 주민들과 하동군 어민들은 섬진강 재첩 구역을 놓고 마찰을 빚었다.
광양시 진월면과 하동군 광평리 어촌계 어민들은 1993년 정해진 관할 구역이 불합리하다며 20여년 만에 관리구역 소유권을 주장하는 등 자칫 지역 간 다툼으로 번질 상황이었다.
이에 두 지자체는 섬진강을 사이에 두고 실질적인 동일 생활권을 구축하고 있다는 판단 아래 공동번영을 하기로 약속했다. 지난해 11월 ‘하동·광양 공생발전 행정협의회’를 출범한 두 지자체는 그동안 수차례 실무협의와 제3차 협의회를 개최하면서 양 시·군의 쟁점 현안에 대해 의견을 정리하고 향후 대책을 마련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우선 섬진강 살리기사업을 위해 ‘섬진강 수계 물 방류 확대 재건의문’을 작성해 이달 중에 국토해양부 등 관계기관에 건의하기로 했다. 5000만원을 들여 섬진강 염분 측정장치를 하류지역에 설치하는 한편 재첩어업 실태 파악 및 자원 회복사업에 대해서도 농림수산식품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경계수역 획정에 대해서도 수차례 협의한 결과 기존 경계를 원칙으로 하고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협력하기로 하는 내용의 협정서를 이달 중에 작성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구 남해고속도로 섬진강 교량 재개통을 위한 정밀안전진단을 위해 광양시에서 3억 5000만원, 하동군에서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확보해 협약을 체결하고 다음 달 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섬진강 포구 80리 둘레길 조성사업과 문화관광해설사 공동워크숍 개최 및 대표 관광지 연계 테마형 상품을 개발해 내년부터는 광역 시티투어로 운행하기로 협의했다.
광양시 관계자는 “혼자 가면 빨리 갈 수 있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간다는 말이 있듯이 양 시·군이 함께 고민하고 힘을 합쳐나가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공생발전협의회가 단순히 두 도시 간의 협의체를 넘어 대한민국의 상생과 화합의 장을 열어가는 대표적인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양 최종필기자 choijp@seoul.co.kr
2012-06-0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