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지난달 19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60.8%가 시승격에 찬성하고, 32.9%가 반대했으며 6.3%가 응답하지 않았다. 그러나 첫 조사 결과 반대자 가운데 9.5% 이상의 면단위 주민들이 시로 승격될 경우 주민세 등 일부 세금이 늘어나는 것으로 오해해 설명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봤다. 승격되더라도 면단위 지역은 이 조항에서 제외된다.
군은 2차 조사에 앞서 시로 승격될 경우 국고보조금 430억원, 도보조금 40억원 등의 재정지원이 늘고, 기초생활보호대상자 확대와 공무원 증원으로 행정 및 복지 서비스가 확대되는 점과 농어촌특별전형을 통한 대학특례입학제도가 시승격 이후 3년까지만 유지되는 등 장단점에 대해 명확히 설명할 계획이다. 시승격엔 ▲인구 5만명 이상의 도시형태를 갖춘 지역이 있고 ▲도시적 산업종사 가구 45% 이상 ▲재정자립도 전국평균(17%) 이상 등 조건이 필요하다. 지난해 기준 여주군 인구 10만 9120명 가운데 여주읍이 5만 4144명을 차지한다. 도시적 산업종사자의 가구 비율 74.4%에 재정자립도는 37.9%다.
군 관계자는 “법적 요건을 충분히 갖췄지만 한 사람이라도 이해시키기 위해 여론조사를 더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장충식기자 jjang@seoul.co.kr
2012-07-1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