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아라뱃길 오염 논란… 매립지公, 건조·재활용 방안 추진
경인아라뱃길과 인천 앞바다의 수질오염, 청라국제도시 등의 악취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인천 서구 수도권매립지 침출수(쓰레기 썩은 물)를 배출하지 않는 방안이 추진된다.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침출수를 자체 처리하는 ‘무방류 시스템’ 도입을 모색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현재는 1·2매립장에서 나오는 하루 4200t가량의 침출수를 정화시켜 방류하고 있다. 지역 환경단체와 인천시 등은 최근 경인아라뱃길 수질 문제가 논란을 불러일으키자 침출수를 주원인으로 보고 공사 측에 대책을 요구해 왔다. 아라뱃길에 방류되는 침출수는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7㎎/ℓ, 총질소(T-N) 115㎎/ℓ로 모두 법적 기준치 이내라고 공사 측은 설명했다.
공사는 침출수를 자체 건조시켜 증발시키는 방법과 염분을 뺀 뒤 매립지 도로의 먼지 제거나 수목 관리용으로 사용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공사 관계자는 “침출수 염분 농도를 제거하면 재활용이 가능해진다.”며 “이 같은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데 마무리되면 침출수를 흘려보내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공사 측이 침출수 배관을 인근 안암도 유수지 쪽으로 옮기는 방안도 고려했지만 어민들의 반발이 예상돼 포기한 것으로 안다.”며 “이른 시일 내에 무방류 시스템이 도입돼 경인아라뱃길 수질 관리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