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3만그루 1차 분양
경북도가 국내 최초로 인공 증식에 성공한 송이 소나무가 내년부터 농가에 공급돼 새로운 소득원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송이 소나무는 산림환경연구원이 2003년 송이균 감염 형성 기술 개발에 성공해 미국, 일본, 중국 등 국제특허를 잇따라 취득한 것으로, 인공재배 기술을 산업화하기 위해 ‘신나리 일품 송이 소나무’로 상표 등록까지 마쳤다.
이 소나무는 연구원이 무균상태에서 솔씨를 발아시켜 만든 송이균주를 어린 소나무 뿌리에 착상시켜 이를 온실 내 멸균된 배양토에서 3개월 동안 키운 뒤 다시 3년 동안 야외포장에서 적응 능력을 키우는 방식으로 생산하고 있다.
연구원은 또 2005년부터 올해까지 단계적으로 시험 생산된 송이 소나무 2만 2000그루를 봉화, 영덕 등 도내 19개 시·군 산지에 시험 식재했고, 이를 대상으로 DNA 검사를 실시해 전체의 80% 정도가 생장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했다. 험 식재는 송이산 주변은 물론 송이 생산지였으나 산불로 현재 생산되지 않는 산, 생산이 전혀 되지 않는 산, 소나무 노령화 및 병충해로 생산량이 현저히 감소한 산 등 5가지 모델로 이뤄졌다. 송이 소나무는 3.3㎡당 보통 6그루 정도를 심으며, 식재 후 10년쯤 경과하면 수확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은종봉 도 산림환경연구원장은 “앞으로 송이 소나무 연간 생산능력을 10만 그루로 대폭 확대하는 등 송이산 조성 및 산업화에 전력을 쏟을 작정”이라며 “도내 전역에 송이산을 조성해 농가 소득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도의 최근 5년간(2007~2011년) 연평균 송이 생산량은 275t으로, 318억원의 수입을 올렸다.
대구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2012-09-1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