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부터 수만마리 방류… 생존율 등 효과 조사 ‘全無’
|
경북도수산자원개발연구소는 6일 독도 서도 주민숙소 인근 해역에서 어린 독도 전복 2만 마리 방류 행사를 열었다. 경북도의회 농수산위원회 소속 의원 8명을 비롯해 경북도·울릉군 공무원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연구소는 이날까지 독도 서도 해역에 어린 독도 전복 5만(2010년 1만, 2011·2012년 각 2만 마리 등) 마리를 풀어 놓았다. 여기에는 8000만원(사육비 등 제외)의 비용이 들었다.
이날 방류된 어린 독도 전복은 유전자 분석을 통해 독도 전복으로 판명된 어미에서 지난해 5월 채란 사육한 5㎝급이다. 어미 독도 전복은 독도 근해 어장 관리 주체인 울릉군 도동어촌계에서 잡은 전복 가운데서 선택된다. 연구소는 2016년까지 독도 해역에 어린 전복 총 15만 마리를 방류할 계획이다.
그러나 연구소는 지금까지 전복 방류에만 급급할 뿐 이후 생존율 등 효과 조사는 단 한 차례도 하지 않았다. 관련 조사 계획 자체를 세우지 않았기 때문이다.
국립수산과학원 관계자는 “전복 방류에 따른 모니터링 및 샘플조사 등 효과 조사를 실시하는 게 바람직하다”면서 “일방적으로 방류 사업만 계속할 경우 자칫 전시 행정과 예산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도수산자원개발연구소 관계자는 “방류 전복에 대한 효과 조사를 않는 대신 매년 독도 해역에 대해 생태조사를 하는 동해수산연구소에 이를 포함해 줄 것을 건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3-05-0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