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타당성 조사 새달 완료
노면전차 도입을 위한 수원시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염태영 수원시장은 15일 “현재 수원역에 집중된 심각한 교통 문제를 해소하고 새로운 교통 체계를 확보하기 위해 2017년 운행을 목표로 무가선 노면전차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
노면전차 노선은 수원역~화성행궁~장안문~수원야구장~장안구청 간 6.049㎞에 건설된다. 노면전차는 최신형 ‘무가선 트램’으로 버스 중앙차로처럼 기존 도로 위에 궤도를 설치해 3~5량을 동시에 운행한다. 전기로 움직여 매연이 없고 진동과 소음이 적다. 유럽 등 전 세계 150여개 도시 400개 노선이 운행 중이다. 건설비는 총 1677억원이 투입되며 60%인 997억여원은 국비로, 2%인 33억여원은 도비에서 부담하고 시는 647억여원을 투자한다.
수원시의 노면전차 사업은 지난 1월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돼 다음 달까지 조사가 이뤄진다.
박래헌 수원시 교통행정과장은 “노면전차가 운행되면 하루 33만명이 이용하는 국철 1호선 수원역 및 분당선, 수인선 등과도 연결돼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분당선은 2013년, 수인선은 2015년에 모든 구간이 개통하는 등 수도권 남부 순환 철도망 구축으로 노면전차와 연계되는 환승 수요가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수원역과 수원 화성 구간을 운행하는 50~60여개의 버스 노선을 노면전차가 대체하고 다른 버스 노선과의 연계·환승 운행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임삼진 한국철도협회 부회장은 “대중교통의 녹색화와 고급화, 시민의 교통권 증진, 비용 절감 등의 측면에서 볼 때 노면전차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특히 경전철과 비교할 때 도심 경관을 해치지 않을 뿐 아니라 관광 자원으로 활용할 수도 있어 교통수단 이상의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13-07-1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