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남해군에 따르면 중현산단 조성에 필요한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의 유효기간 5년이 지난 18일자로 끝났다.
남해군은 2008년 7월 서면 중현지구 일대 99만여㎡의 바다를 메워 육지부 110만여㎡와 함께 산업단지로 조성하는 것을 골자로 한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을 당시 국토해양부에 제출했다.
그러나 이 계획의 유효기간 5년이 다 되도록 산단 조성계획 미확정으로 매립면허를 신청하지 못해 결국 정부의 공유수면매립계획에서 자동해제됐다.
이에 따라 바다 매립이 어렵게 돼 중현산단 조성은 사실상 무산됐다.
중현산단은 2007년 남해군이 부산의 백송종합건설과 투자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추진됐다.
남해군과 백송종합건설은 중현산단 조성을 위한 특수목적법인(SPC)인 남해조선산업단지㈜를 설립했고, 2008년에는 삼성중공업과 공동사업약정서를 체결해 조선산업단지 조성이 가시화되기도 했다.
그러다가 2011년 한국동서발전이 에너지파크(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제안해 새 국면을 맞이했으나 환경오염과 해양생태계 파괴 등을 우려한 주민의 반대가 심해 주민투표 끝에 에너지파크 건설도 불발됐다.
남해군은 조선산업단지 실수요자를 찾지 못해 산단 추진이 어려운 상황에서 에너지파크 건설이 백지화된데다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마저 유효기간이 끝나 중현산단은 더는 추진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장명성 남해군 투자유치팀장은 “아직 특수목적법인이 남아있어 처음부터 다시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을 신청하는 등 절차를 밟을 수는 있다”면서도 “그러나 실수요자가 없고 공유수면매립 절차 추진 등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중현산단 조성은 무산된 것으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