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법 적용 ‘친환경·1000억 경제효과’ 두 마리 토끼 잡는다
13년간 표류하던 울산 울주군 ‘영남 알프스’의 신불산 로프웨이(케이블카) 설치 사업이 공영개발로 본격화된다. 신불산 로프웨이 설치는 그동안 민간자본 유치 차질 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장기 표류되자 최근 울산시와 울주군이 공영개발에 나섰다.
|
영남 알프스 산악관광 자원화 사업의 핵심이었지만 민간자본 유치 등이 차질을 빚으면서 13년간 표류하던 울산 울주군 신불산 로프웨이 설치 사업이 공영개발로 2016년 시작된다. 사진은 신불산 로프웨이가 들어설 등억온천단지 일대. 울산시 제공 |
|
군은 내년 1월부터 기본계획 및 기본설계 용역에 들어가 환경영향평가(2014년 6월~2015년 5월)와 중앙 투·융자 심사(2014년 11월~2015년 4월), 실시설계(2015년 1~12월) 등을 거쳐 2016년 1월 착공할 예정이다. 다음 해인 2017년 10월 준공한다. 특히 시와 군은 로프웨이 설치와 운영에 따른 환경훼손을 최소화하려고 환경영향평가 등 법적인 절차는 물론 신공법으로 환경피해를 최소화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시와 군은 주민, 경제·환경 전문가,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가칭 ‘신불산 로프웨이 추진협의회’를 발족할 계획이다. 추진협의회는 로프웨이 유형, 노선 길이, 정상 부근 역사 위치, 입주시설 등 시설 전반에 대한 사항과 환경 부문을 포함한 영남 알프스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대한 사항 등을 협의할 방침이다. 13년 만에 공영개발로 본격 추진하는 만큼 갈등을 최소화하려는 조치다.
로프웨이가 설치되면 연간 80만명의 관광객을 유치해 1000억원 규모의 지역경제 파급 효과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신불산 로프웨이는 경부고속도로 서울산 IC와 울산~함양 간 고속도로, KTX 울산역사에 인접해 접근성이 뛰어나다. 여기에다 연간 150만명이 찾은 영남 알프스의 출발점인 신불산에 들어서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석남사, 통도사, 천주교 사적지 등 종교시설과 반구대암각화, 천전리 각석 등 선사문화 유적까지 인접해 탄탄한 관광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울주군 관계자는 “로프웨이 노선은 최근 시행한 사전타당성 검토용역 결과를 토대로 했고, 입지 용이성, 환경적 타당성, 기능적 효율성, 부지확보 가능성, 조망권 등을 고려해 확정했다”면서 “앞으로 환경부와의 협의 과정에서 다소 변화가 있을 수 있지만, 큰 변경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시와 군은 그동안 수차례 민자사업으로 추진했으나 실패했고, 경기침체로 민자유치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환경훼손을 최소화하려고 공영개발 방식을 선택했다”고 덧붙였다.
경기침체로 민자사업 자체가 부진을 거듭하자 지역 주민들을 중심으로 공영개발을 촉구한 건의가 잇따랐다. 로프웨이 설치 사업 장기화는 영남 알프스 산악관광 활성화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전경술 울산시 관광과장은 “신불산 로프웨이 사업은 영남 알프스 산악관광 자원화 사업의 핵심으로, 그동안 지역 주민들과 단체에서 조속한 추진을 요구하는 건의가 많았다”면서 “신불산은 KTX 울산역, 경부고속도로, 국도 35호·24호선 등이 있어 접근성이 좋은 데다 뛰어난 자연경관과 볼거리, 먹을거리 등으로 경쟁력이 높다”고 말했다.
환경단체의 반대도 있다. 울산환경운동연합은 “신불산 로프웨이 개발로 이 일대의 환경훼손이 우려된다”면서 “신불산 로프웨이는 민간에서 추진하지 못한 사업이다. 이를 공영개발로 추진하려면 사업성과 경제성 부족에 대한 분석과 해명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