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S 측량 ‘탐방로 등급제’ 이용땐
‘탐방로 등급제’는 경사도, 거리, 노면상태, 소요시간 등에 따라 ‘매우 쉬움’, ‘쉬움’, ‘보통’, ‘어려움’, ‘매우 어려움’ 등 5개 등급으로 분류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빈번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탐방객 스스로 신체 조건과 체력에 적합한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공원공단은 지난 2년간 1700여㎞의 탐방로에 대한 위성위치추적(GPS) 측량을 통해 경사도와 폭, 거리, 노면상태 등을 조사했으며 이를 근거로 난이도를 분석해 탐방로의 등급을 매겼다. 국립공원에서 발생되는 사고의 대부분은 무리한 산행 때문이다. 심장 돌연사나 골절, 탈진과 같은 사고도 빈번하다. 공원공단은 ‘탐방로 등급제’ 시행으로 등산객들이 자신의 체력에 맞는 코스를 선택하도록 안내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이 크게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탐방로 등급 정보는 공단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주요 탐방로 입구에 설치된 안내 표지판을 참고하거나 탐방지원센터와 공원지킴터 등에 문의해도 알 수 있다.
|
공단 환경디자인부 이진범 부장은 “‘매우 어려움’과 같은 난이도가 높은 탐방로를 산행할 때는 땀을 너무 많이 흘리지 않도록 중간중간 적절한 휴식을 취하며 수분을 보충해 주고, 탈진하지 않도록 걸어가며 먹을 수 있는 간식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면서 “특히 급변할 수 있는 고지대 기상상황을 고려해 등산복이나 등산화를 여벌로 준비해 가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세종 유진상 기자 jsr@seoul.co.kr
2013-11-0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