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지역간 조정방안에 포함 6월까지 사전검토 협의체 운영
대구시는 대구취수원 이전사업이 12일 발표한 정부의 지역 간 이해관계 조정방안에 포함됐다고 이날 밝혔다. 이는 사회간접자본(SOC) 등에 대한 입지경쟁, 기피시설 거부 등으로 지역 간·지역 내 갈등 확산이 우려될 경우 중앙부처 차원의 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역의 목소리를 반영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오는 6월까지 대구·구미시 등의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사전검토 협의체를 운영하고 연구용역을 통해 우려 사항을 검증할 계획이다. 이런 과정을 거친 뒤 나온 지역 간 합의를 토대로 2022년까지 취수원 이전사업을 완료할 예정이다.
정부는 대구 취수원 이전이 이뤄지면 하이테크밸리 등 구미산업단지 현대화·활성화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구 등 낙동강 하류지역에 안전한 식수 공급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대구시는 2009년부터 취수원 이전을 추진했다. 낙동강에서 페놀 사건과 다이옥신 유출 사고 등 수질오염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취수원을 구미공단 상류로 이전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이전 후보지로는 구미공단 상류인 구미 도개면 일대를 지목했다. 구미시와 시민단체들이 반발하자 대구시는 지난해 구미 취수원을 해평광역취수장으로 옮기는 방안을 제시했다. 해평은 도개면 일대보다 12㎞ 하류지만 구미공단보다는 위쪽이다.
이 같은 수정제안에 대해서도 구미시와 시민단체들은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시민단체로 구성된 ‘대구취수원 구미이전 반대 추진위원회’는 최근 “대구시가 구미시민의 의사를 무시하고 취수원 이전을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면서 “주민들과 함께 반대운동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구미시도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구미시 관계자는 “4대 강 사업이 마무리된 지 1년여밖에 안 돼 아직 수량이 충분한지 단언할 수 없는 데다 여름철에 녹조까지 발생하는 등 환경변화가 심한 상황에서 취수원 이전 논의를 들먹이는 건 시기상조”라고 밝혔다. 대구시는 “이번 정부의 조정방안 발표로 취수원 이전이 가능하게 됐다. 구미와 충분한 협의를 통해 상생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2014-03-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