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조력발전유치협의회와 강화북부어민발전협의회는 조력발전소 유치를 위해 강화군의회에 국민청원서를 제출한 데 이어 산업통상자원부에 발전소 조속 추진 및 인허가 협조를 요청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날 해양생태계 파괴를 이유로 강력히 반대했던 것과는 달리, 조력발전소가 들어서면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어민들이 찬성 움직임을 보여 눈길을 끌고 있다.
강화조력발전사업은 강화도와 인근 석모도를 4.5㎞의 조력댐 방조제로 연결해 30㎿짜리 수차발전기 14기를 설치하는 것이다.
사업자인 강화조력발전㈜이 2012년 11월 국토해양부에 2차로 제출한 공유수면 매립 기본계획이 반영되지 못하자 스스로 사업을 철회했다.
어민들은 “지역을 발전시키고 주민들이 상생하는 타 지역 조력발전소 사례가 알려지면서 조력발전에 반대하던 어민 다수가 찬성 쪽으로 돌아섰다”고 밝혔다. 강화조력 유치찬성 서명에 강화군민 유권자의 절반이 넘는 3만 1000명이 동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화북부어민발전협의회는 이번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정치인들이 어민들의 목소리를 정책 공약에 적극 반영할 것을 요청했다.
신현모 협의회 대표는 “경제자원이 부족한 강화군에 조력발전소가 건립되면 일자리를 창출하고 탄탄한 성장기반을 조성할 수 있다”면서 “어민에게도 실보다 득이 많은 이 사업은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화북부어민발전협의회는 강화지역 11개 어촌계 중 3개 어촌계 어민으로 구성됐다.
박용호 강화조력반대주민대책위원장(외포리 어촌계장)은 “다수 어민이 조력발전에 찬성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로, 일부 어민이 피해보상을 노리고 찬성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강화조력은 이미 중단된 국책사업인데 사업자 쪽에서 여론몰이를 통해 어민 간 갈등을 조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
2014-03-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