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준설 강행 해명 촉구… 주민 “홍수 위험 더 높아” 반발
“임진강 준설…, 정말 홍수 예방 위해서인가?”서울지방국토관리청의 임진강 유역 준설 강행 배경을 놓고 각종 억측이 난무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서울국토관리청과 파주시는 “임진강 하도 준설은 하류지역(문산) 홍수 예방과 갈수기에 강 수위가 낮아져 어선 운항이 어렵다는 어민들의 민원이 잇따라 2001년쯤부터 추진해 온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1996~1999년 임진강 하류 지천이 범람해 문산 시내가 물에 잠기고 35명이 숨지는 등 큰 수해를 입었다. 이 같은 홍수 재발 방지를 위해 2001년 임진강하천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듬해 임진강 유역 홍수피해 원인조사 및 항구대책이 수립되면서 제시된 사업이란 설명이다.
그러나 환경단체 및 해당 지역 주민들은 “뭔가 다른 꿍꿍이가 있다”고 의심한다. 노현기 파주환경운동연합 임진강 생태보전국장은 “홍수 원인은 임진강 지류인 문산천, 동문천 등의 배수 불량”이라며 “준설토로 임진각 및 초평도 인접 저지대 농경지를 성토해 대규모 개발사업을 벌이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재석 농민대책위 사무장 역시 “하류 구간은 그대로 둔 채 상류만 준설할 경우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어차피 시간이 지나면 다시 퇴적될 것 아니냐”며 “뭔가 다른 의도가 있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이어 “준설사업 추진으로 거곡·마정·사목·장산 일대 농민들은 농사를 더 이상 짓지 못할 수도 있는데 제대로 된 의견 수렴 절차 한번 거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국토관리청이 추진 중인 ‘임진강 거곡지구와 초평도 주변 마정지구에 대한 하도 개선사업’은 임진강 굴곡지역에 형성된 모래톱 및 하천 둔치 농경지 등 1235만㎡를 준설하고 제방 보강공사를 벌이는 사업이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