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검사 후 이달 말 시운전
주민들의 반발 속에 강행된 경남 밀양지역 765㎸ 송전탑 공사가 마무리돼 곧 시운전에 들어간다.이에 따라 ‘신고리 원전~북경남변전소 765㎸ 송전선로 건설사업’이 모두 마무리됐다. 한전은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안전검사를 통과하면 신고리 원전 1·2호기 등이 생산하는 전력 일부로 이달 말 시운전을 시작한 뒤 내년 초 상업운전을 개시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 사업은 신고리 원전 3·4호기 생산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추진됐으나 해당 원전은 부품 시험 불합격 등으로 준공이 늦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주민 2명이 분신하거나 음독해 목숨을 끊는 등 극심한 갈등에도 신고리 3·4호기 전력 안정 수급 명분을 내세워 공사를 강행한 한전이 비판을 받게 됐다.
밀양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회는 송전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초점을 맞춰 투쟁 활동을 계속한다는 계획이다. 이계삼 반대 대책위 사무국장은 “전자파나 소음뿐만 아니라 부동산 거래 중단과 같은 재산상 피해를 모니터링한 뒤 현재 진행되는 각종 소송에 이런 문제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피해가 가시화하면 한전에 주민 이주 대책 마련도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북경남변전소 송전선로 건설사업은 울산 울주군, 부산 기장군, 경남 양산시, 밀양시, 창녕군 등 5개 시·군에 송전탑 161기를 세워 신고리 3·4호기에서 생산하는 전력을 서부 경남과 대구, 경북 남부 일대에 보내는 사업이다.
밀양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4-12-0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