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일 유통·저렴한 가격 소비자들에 인기
장거리 운송 없이 지역 내 신선 농산물만 판매하는 경기도 로컬푸드 직매장이 인기를 끌면서 매출이 급성장하고 있다.도 관계자는 “지난해 10개에서 15개로 매장이 늘어난 데다 로컬푸드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며 매출이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로컬푸드 직매장은 새벽 생산, 가격 결정 뒤 매장 진열, 재고 회수의 당일 유통 원칙으로 4~5단계의 유통 과정을 거치는 기존 농산물에 비해 신선도와 가격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 수확된 농산물에 대한 잔류 농약 등 안전성 검사를 비롯해 위생적인 상품화 시설 등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소비자의 신뢰를 얻고 있어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게 도의 판단이다.
김포농협 로컬푸드 직매장 관계자는 “지난해 16억원에서 올해 34억원으로 매출이 크게 늘어났다”며 “전통 발효식품, 떡, 두부, 치즈 등을 만들어 보는 출하 농가 체험 등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믿음을 준 게 주효한 것 같다”고 말했다. 김포농협 로컬푸드 직매장은 내년도 매출 목표를 40억원으로 늘려 잡았다.
김현숙(45·여·김포시 사우동)씨는 “매장에서 판매되는 농산물은 일단 신선도가 좋고 직거래라 가격도 저렴한 편이어서 자주 이용한다”고 말했다.
도는 내년에 25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로컬푸드 연중 생산체계 구축, 참여 농가 조직화 교육, 농촌체험마을 농산물 직판·가공시설 설치 등의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기존의 다단계 유통 경로와 달리 농민에서 바로 소비자로 이어지는 단순 구조이다 보니 농가의 수익이 늘어나고,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에 안전한 농산물을 받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말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