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교통 오지에 운행 지원
농어촌주민들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고 택시업계 경영난도 덜어줘 일석이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정읍시는 버스가 다니지 않는 시골마을 주민을 위해 100원만 내고 탈 수 있는 ‘복지택시’를 다음달 1일부터 시행한다.
승강장까지 거리가 1㎞ 이상 떨어진 마을 28곳이 대상이다.
마을회관에서 버스 승강장까지, 또는 마을회관에서 읍·면 소재지까지 운행된다. 요금은 승강장까지는 100원, 읍·면 소재지까지는 1000원이다. 요금은 승객 수와 관계없다. 주민 4명이 함께 택시를 타면 25원만 내고 승강장까지 갈 수 있어 공짜나 다름없다.
차액은 정읍시가 부담한다. 택시를 읍·면 사무소에 고정 배치했다가 전화로 신청하면 달려가는 방식이다. 운행 시간은 월~금요일 오전 8시에서 오후 6시이다.
오지가 많은 완주군과 임실군, 진안군 등은 새 학기 시작과 함께 ‘통학택시’를 도입했다. 지역별로 적게는 수십명에서, 많게는 수백 명의 학생이 택시를 이용해 편안하게 등·하교한다. 통학택시는 마을과 중·고등학교를 정기운행하거나 콜제로 운행한다.
요금은 1000원이다. 차상위 계층 학생은 500원 또는 무료다. 이 택시를 이용하는 학생 대부분은 그동안 버스 승강장까지 30분 안팎을 걸어나와야 했다.
이에 앞서 완주군은 지난해 11월부터 버스가 다니지 않는 시골 주민들을 위해 500원만 내면 읍·면 소재지까지 갈 수 있는 ‘으뜸 택시’를 운영하고 있다. 버스 승강장과 거리가 500m 이상 떨어진 산간 오지 7개 읍·면 21개 마을에서 이용하고 있다.
이 같은 택시 운영은 주민·학생뿐 아니라 택시업계도 반긴다. 손님이 없어 장시간 터미널이나 시장 근처에서 차를 세워놓고 몇 시간이고 대기하던 택시기사들에게도 복지·통학택시는 ‘가뭄에 단비’처럼 반가운 일이 됐다.
김생기 정읍시장은 “버스가 다니지 않는 시골의 노인이나 장애인의 불편과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데 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택시업계의 경영난을 줄여주는 효과도 클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5-03-31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