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정책 기본계획 발표…노동시간 단축모델 개발
서울시가 노동자 권익 보호와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서울형 노동시간 단축모델’을 개발해 공공부문부터 시행하고 ‘서울노동권리장전’을 만들기로 했다.또 노동특보를 임명하고 노동전담부서인 고용노동국 설치를 추진하는 등 행정적으로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 기반도 마련한다.
서울시는 노동자 권익 보호와 모범적 사용자 역할 정립을 골자로 하는 ‘노동정책 기본계획’을 29일 발표했다.
권익 보호를 위해 시 산하 교육기관인 인재개발원에 공무원 노동교육과정을 새로 만들고 일반 시민을 포함해 12만명에게 노동교육을 하는 등 노동교육과 상담을 강화한다.
또 노동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권리 침해와 부당노동행위 등을 정리한 ‘서울노동권리장전’(가칭)을 만들어 내용을 널리 알릴 계획이다.
청소년과 여성, 감정노동자, 특수고용형태 노동자 등 취약계층을 위한 대책도 마련된다.
돌보미나 방문판매원, 보험설계사 등 여성이동근로자들이 이동하는 중간에 쓸 수 있는 쉼터는 현재 8곳에서 2019년까지 25곳으로 늘어난다.
아르바이트 청소년 권리보호센터도 5곳 마련되며 청소년노동권리수첩도 만들어 앞으로 5년간 19만부를 발간할 계획이다.
대리운전기사 등 특수고용형태종사자들을 위해 24시간 운영되는 쉼터도 만들어 시범 운영한 뒤 확대 설치하고, 이들을 위한 사회보험 적용방안을 중앙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또 고용안정과 적정임금, 근로시간, 노사협력, 직장 내 괴롭힘 등 5대 노동현안 해결에 먼저 모범을 보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2017년까지 공공부문 비정규직 1천697명을 정규직으로 추가 전환한다.
올해부터 광역자치단체로서는 처음으로 ‘서울형 생활임금제’를 도입해 시와 산하기관 노동자 420명에게 우선 적용한다.
또 ‘저녁이 있는 삶’을 위해 ‘서울형 노동시간 단축모델’을 개발해 공공부문부터 시범 실시한다.
공사장 안전 문제 등 노동안전에도 적극적으로 관심을 기울일 계획이다.
시가 발주하는 공사장의 노동자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심리상담을 하는 한편 건설현장의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안전교육도 실시한다.
기본계획은 2019년까지 5년 일정으로 추진한다. 올해 519억원 등 5년간 총 2천852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박원순 시장은 “서울시의 노동관련 권한이 극히 제한적인 만큼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효율적으로 자원을 이용할 것”이라며 “지금까지는 노동과 함께 걸어왔던 단계라면 이제는 그 동안의 시도를 종합하고 발전해 노동과 함께 하는 서울시를 시도해보고자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