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70억원 들여 하천 공사… 오수 섞이고 산책로 청소 안돼
대구 수성구 범어천 정비사업이 혈세만 낭비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사업 완공 뒤 악취가 진동하는 데다 범어천 산책로를 이용하는 사람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이 사업은 두산오거리에서 어린이회관 삼거리까지 1.6㎞에 이르는 구간에 70억원을 들여 하천을 복원하고 산책로를 조성하는 것이다.
사업이 마무리된 지 1년여가 지났지만 범어천은 비가 오면 생활오수가 섞여 심하게 악취가 난다. 기온이 오르면서 악취는 점점 더 극심해지고 있다. 또 산책로 주변 청소가 잘 이뤄지지 않아 깨끗하지 못하고 조명도 갖춰져 있지 않았다. 여기에다 산책로로 들어가는 입구를 주민들조차 제대로 찾지 못하는 등 접근성도 취약하다. 이러다 보니 산책로를 이용하는 주민들은 찾아보기 힘들다. 야간에는 아예 우범지대로 전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사업은 착공 이전부터 산책로가 제 기능을 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됐었다. 사업비가 절반 정도 줄어들면서 산책로 조성은 제외됐다. 하지만 인근 주민들이 주변에 공원이 없다는 이유로 범어천에 산책로 조성을 구에 수차례 요청했다. 구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찬반 투표를 하는 등 여론에 떠밀려 산책로 조성에 나선 것이다. 그러나 줄어든 예산으로 범어천 옹벽 제거는 물론 주변 정비도 제대로 못한 상태에서 산책로만 졸속으로 만들었다.
구 관계자는 “사업 착공 이전에도 범어천이 협소한 데다 비가 오면 침수될 가능성이 있는 등 산책 장소로 부적절하다고 생각했었다”고 산책로 조성 사업에 무리가 있었음을 인정했다. 그는 또 “앞으로 산책로 주변 잡초를 정리하는 등 주변 정비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주민들은 “어느 정도 산책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하는데 접근성도 어려운 데다 달랑 산책로만 만들어 실망스럽다. 결국 예산만 낭비하는 전시성 사업이 됐다”고 지적했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2015-05-0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