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 일자 뒤늦게 교체 소동
도는 자체 제작한 충북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의 ‘도청 찾아오시는 길’에 게시된 지도에 ‘동해’가 ‘일본해’로 표기된 사실을 뒤늦게 알고 최근 다른 지도로 교체했다고 14일 밝혔다. 문제가 된 이 지도는 구글이 제작한 것이다. 이 지도에서 ‘독도’는 독도의 미국식 표현인 ‘리앙쿠르 암초’로 적혀 있다. 도는 2012년 3월 이 앱을 구축한 후 3년 넘게 이 지도를 사용해 왔다.
2015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조직위원회가 지난달 30일 만든 홈페이지에 올라있는 지도 역시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한 구글 지도다. 일각에서 이를 문제 삼자 지난 13일 네이버가 제작한 지도로 교체했다.
일본이 계속해서 독도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상황에서 공공기관들이 일본의 입장을 대변하는 지도를 사용한 것은 꼼꼼하게 챙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고, 호환성이 좋다는 이유로 구글 지도를 갖다 쓰면서 외교적으로 민감한 ‘동해’나 ‘독도’ 명칭이 어떻게 지도에 표기돼 있는지 확인하지 않은 것이다.
도 관계자는 “모바일 앱의 찾아오는 길을 클릭하면 도청을 중심으로 한 인근 지역의 지도가 뜨는데 이 지도를 7단계까지 축소할 경우 나타나는 세계지도에 ‘동해’가 ‘일본해’로 표기돼 있었다”며 “구글 지도를 갖다 쓰면서 세계지도의 동해 표기를 확인했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앞서 국내 대기업들도 이 구글 지도를 홈페이지에 사용해 비난을 산 바 있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