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자격 업체가 제조한 테트라포드 투입
2일 군산지방해양수산청에 따르면 새만금신항 건설 사업은 2011년부터 2030년까지 총사업비 2조 5482억원을 투입해 부두 18선석, 방파제 3.1㎞, 항만부지 488만 8000㎡를 조성하는 공사다. 현재 방파제 공사는 83%가 이뤄졌다.
그러나 포스코건설이 시공하는 방파제 건설 2공구에 사용되는 테트라포드 6000개 가운데 4500개를 여러 단계 하청을 거친 무자격 업체가 제작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테트라포드는 방파제에 밀려오는 파랑에너지를 약화시키기 위해 피복석 대신 사용하는 4개의 뿔 모양 이형블록이다.
포스코건설은 2공구에 사용되는 20t짜리 테트라포드를 개당 60만원에 낙찰받았다. 그러나 포스코건설은 이를 1차 하도급 업체인 흥우산업에 낙찰금액의 33%인 20만원에 넘겼다. 흥우산업은 포스코건설 비자금 조성 관련 업체로 수사 선상에 오른 회사다. 흥우산업은 다시 우창해사에 19만원에 재하도급을 줬고 우창해사는 경우실업에 16만원, 경우실업은 한일산업에 13만원에 하도급을 줬다. 네 번째 하도급으로 가격이 21.7%로 떨어졌다.
특히 흥우산업 외에는 3개 회사 모두 관급자재인 테트라포드를 제작할 수 없는 무자격 업체인 것으로 드러나 부실시공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품질을 제대로 갖췄는지 의혹을 사고 있다. 이 밖에도 새만금신항 건설 현장에서 근무했던 안전과장 A씨가 공사 과정에서 나오는 고철을 매입하도록 해 주는 조건으로 1억원의 뇌물을 받았다가 들통나는 등 포스코건설의 현장 운영 전반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포스코건설 측은 “하도급을 주다 보면 손해를 보는 공정도 있고 수익이 나는 공정도 있는데 테트라포드는 전체 공사의 한 공정”이라면서 “테트라포드만 별도로 입찰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또 흥우산업이 재하도급을 준 것은 알 수 없다고 밝혔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5-09-0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