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구청 도시계획과 직원들이 3년여에 걸쳐 완성한 ‘관악백과사전’은 역사와 인물 등 인문자원, 건축물과 같은 시설자원, 자연환경을 소개했다. ‘삼국사기’부터 ‘고려사’,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역사서를 참고했으며 백과사전 발간을 위해 자료를 수집하던 중 서울대학교 박물관 수장고에서 강감찬 장군의 한시를 발굴했다. 1987년 고사한 후 사라진 강감찬 생가터의 향나무를 찾아내 구청 로비에 전시하기도 했다. 강감찬 장군이 한시를 지은 시점은 명확하지 않지만 활달한 필치가 장군의 풍모를 떠올리게 한다. 내용은 가을 찬바람에 술 한잔 나눌 이 없다는 외로운 마음을 담은 것으로 매년 10월 열리는 낙성대 인헌제에서 관악구민들에게 선보였다.
강감찬 장군 외에 박종철 열사 등 민주화를 위해 헌신한 현대 인물 20명의 생애도 자세하게 담았다. 고구려 때 잉벌노현이라 불렸던 기록부터 2000년 신림9동 인구 2만 6000명 중 60%가 고시생이었던 현대사까지 소개했다. 자료 수집뿐 아니라 백과사전의 집필, 편집 등 구성도 관악구청 공무원들이 직접 맡아 발간에 필요한 예산 2억원을 아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