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경기도교육청이 도의회 교육위원회에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도내 초·중·고등학교의 담임교사 가운데 기간제교사 비율은 초등학교 3.5%, 중학교 32.2%, 고등학교 21.1%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간제 담임교사 전국 평균치는 초 2.7%, 중 18.5%, 고 13.4%이다.
경기도 내에서는 중학교의 기간제교사 비율이 높았으며 특히 화성·오산지역 중학교는 담임교사 759명 중 41.5%인 315명이 기간제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성남 37.4%, 의정부 36.8%, 평택 36.5%, 광명 36.2%, 안산 35.5%, 등 도시지역의 기간제 담임교사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기간제교사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휴직 등에 따른 ‘정원 내 대체 기간제’와 교육부의 정원 배정 없이 채용한 ‘정원 외 기간제’가 있다. 경기도 전체 공립 중등교과 기간제 교사(1만 1109명) 가운데 74.8%(8304명)는 정원 내이고 25.2%(2805명)는 정원 외이다.
출산·육아에 따른 휴직 요인이 중학교에 특히 많은데다 경기도에 불리한 교사 배정 기준이 기간제 담임을 더욱 양산하고 있다는 것이 도교육청의 설명이다.
도교육청은 지속적인 개선 건의로 내년부터 5년간 교원 정원 배정이 차츰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학기 중 담임교체 자제 지도와 함께 인력풀을 활용한 자질과 능력을 갖춘 기간제교사 재임용, 기간제교사에 대한 역량 및 책무성 연수 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교육위 송낙영 도의원은 “자질과 열정을 가진 기간제교사가 많지만 교육의 질을 확보하고 학부모의 신뢰를 얻으려면 더 근본적인 기간제교사 해소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